다이소가 2023년 말부터 기존 온라인몰과 모바일앱을 하나로 통합하고 세종시에 신규 첨단물류센터를 착공하는 등 온라인 사업을 본격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앱 사용자도 빠르게 늘어 2025년 3월 다이소몰 앱 사용자는 405만명에 이른다. /사진=다이소
다이소가 2023년 말부터 기존 온라인몰과 모바일앱을 하나로 통합하고 세종시에 신규 첨단물류센터를 착공하는 등 온라인 사업을 본격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앱 사용자도 빠르게 늘어 2025년 3월 다이소몰 앱 사용자는 405만명에 이른다. /사진=다이소


다이소가 카테고리 확장에 이어 물류와 배송 서비스까지 강화하면서 퀵커머스에도 도전장을 내밀었다. 오프라인에서 품절된 제품을 온라인에서는 편리하게 주문할 수 있어 전용 앱 이용자 수도 빠르게 늘고 있다.


다이소는 창업 이후 줄곧 대형 오프라인 매장을 중심으로 운영했으나 일본 자본을 털어낼 무렵부터 온라인 사업을 본격적으로 강화하기 시작했다. 외부 자본을 정리한 뒤 경영 독립성을 확보하면서 국내 상황에 맞는 경영에 집중할 수 있게 됐고 알리, 테무 등 C커머스 공습, 오프라인 매장 보유 기업의 O4O(Online for Offline) 마케팅 등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2023년 12월, 기존 오픈마켓 형태의 '다이소몰'과 자체 온라인몰이자 모바일앱인 '샵(#)다이소'를 하나로 통합해 '다이소몰'로 새롭게 출범시켰다. 소비자들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경험하던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온라인에서도 손쉽게 누릴 수 있게 됐다.


다이소 온라인몰의 가장 큰 고민은 '소액 상품' 특성상 배송비 부담이 컸다는 점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이소는 3만원 이상 주문 시 익일 무료배송 정책을 도입, 소비자들의 호응을 끌어냈다. 지난 3월부터는 강남 등 서울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4만원 이상 구매 시 당일배송 서비스를 시작해 배송 옵션을 다양화했다.
최근 3년간 다이소몰앱 월간 사용자 수 추이. /그래픽=와이즈앱·리테일
최근 3년간 다이소몰앱 월간 사용자 수 추이. /그래픽=와이즈앱·리테일


현재 다이소몰은 익일배송, 휴일배송, 오늘배송을 진행하고 있다. 익일배송과 휴일배송은 물류센터에서 출고되며 오늘배송은 매장에서 출고된다. 익일배송과 휴일배송은 매일 오후 2시까지, 오늘배송은 저녁 7시까지 주문하면 된다.

배송 서비스 혁신과 함께 다이소몰 앱의 성장세도 눈에 띈다. 와이즈앱·리테일 자료에 따르면 2025년 3월 기준 다이소몰 앱 사용자 수는 405만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89% 신장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오프라인 매장과 연계한 옴니채널 전략이 제대로 효과를 본 셈이다.

물류 인프라 역시 대폭 강화 중이다. 다이소는 2027년 1월 완공을 목표로 세종 스마트그린산업단지에 대규모 자동화 물류센터인 '세종허브센터'를 구축 중이다. 다이소는 기존에 운영하던 남사, 부산, 안성 물류센터에 이어 세종센터까지 조성되면 3만여종에 이르는 상품의 공급 체계와 물류 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