촉법소년과 범죄소년이 2년 동안 큰 폭으로 늘어난 가운데 10대 소년범 특성에 맞는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진은 박준태 의원이 지난 7월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15회 국회(임시회) 제5차 본회의에서 물을 마시고 있는 모습. /사진=뉴시스
5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박준태 의원(국민의힘·비례)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범죄 신고가 접수된 촉법소년 숫자는 2021년 1만1677명에서 지난해 1만9653명으로 약 70% 늘었다.
지난 8월 기준 촉법소년은 1만3841명으로 이 추세를 유지하면 올해 촉법소년 수가 처음으로 2만명을 넘길 것으로 추산된다.
촉법소년 상한선에 해당하는 13세가 전체 촉법소년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13세 촉법소년은 2021년 6302명에서 지난해 9686명으로 53% 증가했다.
촉법소년뿐만 아니라 범죄소년 숫자도 2021년 5만4067명에서 지난해 6만6500명으로 약 23% 증가했다. 같은 기간 범죄소년의 평균 재범률도 27.9%에 달한다. 범죄소년 10명 가운데 3명은 다시 범죄를 저지른 셈이다.
소년범 신고가 가장 많이 접수된 강력범죄는 강간·추행 범죄였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딥페이크 성착취물 등 디지털 성범죄 피의자 대부분이 10대인 점을 감안할 때 전체 소년범 성범죄 규모는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촉법소년의 강간·추행 범죄 신고는 최근 3년 동안 2배 가까이 늘었다. 촉법소년 강력범죄 중 강간·추행 범죄가 차지하는 비중도 2021년 57%(398명)에서 지난해 92%(760명)까지 증가했다. 강력범죄 신고 10건 가운데 9건은 강간·추행 범죄였던 셈이다.
범죄소년도 강력범죄 가운데 강간·추행 범죄 비중이 가장 컸다. 지난해 기준 범죄소년 강력범죄 신고의 83.6%(1597명)는 강간·추행 범죄였다. 강도 9.7%(187명)·방화 5.4%(104명)·살인 1.1%(7명)가 뒤를 이었다.
살인으로 신고가 접수된 범죄소년 숫자도 2021년 11명에서 지난해 21명으로 2배 가까이 늘었다.
박준태 의원은 "촉법소년임을 인식한 채 범죄를 저지르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만큼 합당한 형사책임을 묻는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며 "소년범죄의 재범률 또한 증가하는 상황에서 교육을 통해 소년범의 재사회화를 돕는 균형 잡힌 접근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