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노로바이러스 감염 위험이 커지고 있다./사진=이미지투데이
초겨울에 진입하면서 추워졌지만 식중독균인 노로바이러스는 영하 20도에도 생존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정부는 겨울철 발생이 증가하는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예방과 확산 방지를 위해 '익혀 먹기' 등 예방 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24일 머니투데이 보도 등에 따르면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최근 5년간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은 총 243건, 환자는 4279명이 발생했으며 12월부터 다음 해 2월까지 발생한 식중독 건수가 119건으로 전체 중 약 49%가 겨울철에 발생했다고 밝혔다.

노로바이러스는 구토 및 설사 등 급성 위장염을 일으키는 전염성이 강한 바이러스로, 낮은 온도에서도 생존해 겨울철에 주로 발생한다.


노로바이러스에 오염된 음식물 및 지하수를 섭취하거나, 환자의 분변과 구토물, 침, 오염된 손 등 사람 간 접촉으로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이 가장 많이 발생한 장소는 학교, 어린이집 등 집단급식소이며 그 외에는 음식점, 가정 순으로 나타났다.

식품으로 인한 노로바이러스 감염의 주요 원인은 생굴 등 익히지 않은 어패류다. 이에 굴 제품 포장에 '가열조리용', '익혀 먹는' 등의 표시가 있으면 반드시 중심 온도 85℃, 1분 이상 가열해 섭취해야 한다.


지하수는 정기적인 수질 검사를 통해 노로바이러스 오염 여부를 확인해야 하고, 오염이 의심되는 경우 반드시 끓여서 섭취하는 것이 좋다.

사람 간 접촉으로 인한 노로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비누를 이용해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손 씻기 등 개인위생 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학교, 어린이집 등에서 노로바이러스 감염 의심 증상이 있는 사람은 조리 등에 참여하지 않아야 하고 증상이 회복된 후에도 2~3일간은 휴식을 취해야 한다.

또한 감염 환자의 구토물·분변 등을 처리한 주변이나 환자가 사용한 화장실, 문손잡이 등은 염소 소독제를 사용하여 소독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