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비혼 출산 지원 대책과 관련해 "한부모 가족이든 여러 상황에서 태어난 아이 한명 한명을 국가가 적극 지원하고 보호하겠다는 건 일관된 철학이 있고 빠진 부분이 있으면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은 유혜미 대통령실 저출생대응수석이 2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이른둥이 맞춤형 지원대책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시스
28일 뉴시스에 따르면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취재진과 만나 "여러 상황에서 태어난 아이 한 명 한 명에 대해 적극적으로 지원한다는 일관된 철학"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 관계자는 "우리나라 비혼출산 비율이 지난해에 4.7%로 OECD 평균 42%에 비해 굉장히 낮은 수준이지만 증가 추세는 맞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아동 수당 ▲부모급여▲육아휴직 등 정부의 육아 지원 정책은 아이 기준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기혼 출산과 차별이 없다"고 밝혔다.
다만 '비혼 출산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도 필요하다'는 지적에 대해선 "사회적인 차별 등 제도로 담을 수 없는 부분이 있다 생각한다"며 "모든 생명이 차별 없이 건강하게 행복하게 자랄 수 있도록 정부가 어떤 면에서 지원할 수 있을 지는 앞으로도 계속 살펴봐야 될 부분이라 생각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