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4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사진=뉴시스
4일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6시간 만에 계엄 사태가 종료되기는 했지만 미 증시에 상장된 한국 ETF(상장지수펀드) 'EWY'가 급락하고 환율이 오르는 등 금융시장의 가격 레벨이 높은 수준으로 올라섰다는 점 자체가 신경 쓰이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의 정치 불확실성이 증폭된 상태이므로 향후 단기적으로 국내 증시의 변동성 확대가 불가피할 소지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도 "이번 사태 이후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 확대가 불가피하다"며 "단기 변동성 확대를 경계하라"고 밝혔다.
장기적으로는 한국 경기 둔화와 글로벌 경기 불안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글로벌 금융시장도 한국의 계엄령 선포에 주목했다며 "한국은 중간재 수출이 많아 계엄령이 장기화될 경우 한국 경기 둔화가 확대될 수 있고 반도체 칩, 중장비 등 공급망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에 글로벌 경기에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외국인 투자자의 이탈이 확대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왔다. 국내 정치 불안으로 투심 저하가 우려되기 때문이다.
김지원 KB증권 연구원은 "약해진 펀더멘털(기초여건)에 더해진 정치 불확실성은 원화 자산의 매력도를 반감시키는 요인"이라며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나정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단기적으로는 외국인 투자자가 한국 주식시장에서 이탈하며 주가가 급락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단기적으로 변동성이 확대되지만 선포 직후 해제됐기 때문에 금융 시장의 장기적인 충격은 제한적일 것 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곧 낙폭을 회복하며 시장이 안정을 되찾을 것이란 관측이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단기 변동성 확대를 경계하지만 비상계엄이 선포 직후 해제됐고 이 과정에서 환율, 야간 선물시장 등 낙폭이 축소됐다는 점을 감안할 때 금융시장 충격 강도는 제한적일 전망"이라며 "국내 증시와 외환시장은 극심한 저평가 영역에 있었던 만큼 점차 안정을 찾아갈 것"으로 봤다.
나정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비상계엄 이슈가 빨리 해소된 만큼 주가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며 "한국 주식시장의 펀더멘털 변화 요인은 아니다"고 했다. 이어 "저가 매수 대응도 유효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