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포진 발병 원인과 증상이 주목된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는 무관함. /사진=이미지투데이
12일 서울대학교 병원에 따르면 대상포진 바이러스는 어린이가 흔히 걸리는 수두의 원인체인 수두 바이러스와 같다. 소아기에 수두 바이러스에 한 번 감염되면 수두를 앓고 난 뒤에도 바이러스가 몸속에서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이후에 대상포진을 일으킬 수 있다.
수두 바이러스는 일반적으로 체내에 존재해도 사람들은 느끼지 못하고 병적인 증상도 딱히 없다. 하지만 신체 면역력이 약해지면 잠복해 있던 바이러스가 신경을 타고 다시 피부로 내려와 그곳에서 염증을 일으키며 문제가 된다.
이 같은 방식으로 발병하는 대상포진은 신경근의 지각신경이 분포하는 부위에 국한돼 발생한다. 발생 부위에 심한 통증과 감각 이상이 동반되며 붉은 반점이 신경을 따라 나타난 후 여러 개의 물집이 무리를 지어 생기게 된다.
대상포진은 치료 시 빠르게 치유되지만 피부 증상을 잘 관리하지 않으면 2차 세균감염이 발생해 곪을 수 있다. 단 노인이나 면역억제 환자는 피부 증상이 좋아져도 통증은 여전히 남는 대상포진성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가 흔하니 주의가 필요하다.
대상포진성 통증은 노인 환자의 약 30%에서 나타나며 이 경우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해야 할 정도로 통증이 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면역 기능이 정상인 환자는 전체의 10% 이하에만 대상포진성 통증이 나타난다고 한다.
서울대병원은 "(대상포진은) 항바이러스 치료제로 치료한다"며 "증상이 좋아지더라도 바이러스는 잠복 상태로 몸속에 계속 존재하기 때문에 바이러스가 재활성화되면 다시 대상포진이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