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이즈 캔슬링' 이어폰이나 헤드폰이 청력 장애는 물론 뇌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전문가 경고가 전해졌다. 사진은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사진=이미지투데이
주변 소음을 차단해주는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장착된 이어폰 또는 헤드폰이 청력 장애는 물론 뇌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지난 17일(현지시각) 영국 BBC 보도에 따르면 최근 청각 이상을 호소하는 젊은 사람들이 급증했다. 전문가들은 이어폰에 내장된 주요 기능인 '노이즈 캔슬링'을 원인 중 하나로 꼽았다.

영국의 조용한 시골 마을에서 자란 25세 여성 소피는 몇 년 전 런던으로 건너와 대학에 다니기 시작하면서 청력에 문제가 생겼다. 소피는 특정 소리를 듣고도 소리가 나는 방향을 찾기 어려웠고 강의실에서 수업을 들을 때마다 단어가 횡설수설하는 말처럼 들렸다. 일상에서도 소리 대부분이 소음으로 느껴져 어려움을 겪었다.


소피는 정밀 검사 결과 청력에는 문제가 없으나, 뇌가 소리와 말을 처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청각정보처리장애 진단받았다. 이는 귀에서 소리를 정상적으로 감지함에도 뇌가 소리 정보를 올바르게 해석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일반적인 청력 손실과 달리 뇌에 문제가 발생하면서 겪는 증상이다.

전문가들은 젊은 층 사이에서 청각정보처리장애가 늘고 있으며 이는 노이즈 캔슬링이 탑재된 무선 이어폰의 영향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노이즈 캔슬링 기능은 음악을 듣는 동안 주변 소리를 차단해 고주파 및 큰 소리가 귀를 손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귀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장점이 부각돼 왔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자동차 경적과 같은 일상의 소리를 차단함으로써 뇌가 소음을 걸러내는 것을 잊어버리게 돼 판단력이 흐려질 가능성이 있다.

영국 청각학회 부회장인 클레어 벤튼은 BBC와 인터뷰에서 "노이즈 캔슬링 기능은 듣고 싶은 것만 듣게 함으로써 뇌가 소음을 걸러낼 노력이 필요 없는 거짓된 환경을 만든다"고 설명했다. 이어 "뇌가 가진 복잡하고 높은 수준의 듣기 능력은 10대 후반이 돼야 비로소 발달이 완료된다. 그러나 10대 후반까지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또는 헤드폰)을 사용하고 이러한 거짓된 환경에 있는다면, 말과 소음을 처리하는 능력 발달이 지연될 수 있다"고 말했다. 임페리얼 칼리지 헬스케어 NHS 트러스트의 청각학 임상책임자인 르네 알메이다도 "청각과 청취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면서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청취 능력을 저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뇌의 청취 기능에 생기는 문제를 개선하려면 이어폰 사용 시간을 줄이고, 이어폰을 사용할 땐 주변 소음을 들을 수 있는 '주변음 허용' 모드를 사용하는 게 좋다. 또 전문가들은 귀를 완전히 막지 않는 이어폰이나 헤드폰 착용을 권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