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생명이 지난해 역대 최대 배당금을 책정했다. 사진은 삼성생명 서초 사옥./사진=삼성생명
삼성생명은 20일 오전 10시 열린 IR(기업설명회)를 통해 주당배당금을 4500으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3700원과 비교했을 때 800원(21.6%) 증가한 것으로 역대최고치다. 총배당금은 8080억원에 달한다. 삼성생명의 주당배당금 규모는 2020년 2500원에서 2021~2022년 3000원, 2023년 3700원을 기록하는데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다.
이완삼 삼성생명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이날 결산 실적 발표 이후 열린 콘퍼런스콜에서 "고수익 건강보험의 시장지배력 확대로 수익성이 강화했다"면서 "투자자산 다변화, 인수·합병(M&A) 등 경상이익 성장을 통한 자기자본이익률(ROE)도 개선됐다. 적정 자본비율을 유지하면서 주주환원율도 안정적으로 우상향해 기업가치를 높이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삼성생명의 연결 기준 당기순이익은 2조1068억원으로 전년 대비 11.2% 증가했다. 이는 배당수익 증가와 금리 하락에 따른 부채 부담이자 감소 등의 영향으로 투자손익이 전년 대비 크게 개선된 결과다. 실제 투자 손익은 2조2720억원으로 전년 대비 95% 증가했다.
핵심 수익성 지표인 보험계약마진(CSM)은 누적 12조9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7000억원 늘어났다.
신계약 CSM 성과가 CSM 확대를 이끌었다. 신계약 CSM은 금리 하락과 영업 경쟁 심화에도, 전년 대비 신계약 물량 확대와 건강 상품 중심의 포트폴리오 강화 등에 3조2610억원을 확보했다. 특히 신계약 CSM 중 건강상품의 비중은 전년 대비 21%포인트(p) 상승한 58%를 기록했다.
다만 자산건전성 지표인 지난해 말 기준 지급여력(킥스)비율은 180%로 2023년 말(219%) 보다 39%포인트 하락했다.
이날 삼성생명은 삼성화재 자회사 편입과 관련해 지배구조나 자본비율에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CFO는 "(자회사 편입해도) 손익이나 자본 비율 등에 변화는 없다"면서 "지분을 추가로 매입할 계획도 현재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앞서 삼성생명은 앞서 지난 13일 금융위원회에 삼성화재 자회사 편입을 신청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