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지주 사외이사 현황 /그래픽=김은옥 기자
하나금융은 올 초 함영주 회장이 연임에 성공해 2028년까지 임기를 확정했다. '포스트 함영주' 육성에 나선 하나금융은 경영 안정을 이끌 새 이사회를 구축에 나설 방침이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금융은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후보추천위원회(사감추위)를 열고 신임 사외이사 후보 선임을 검토하고 있다.
하나금융 사외이사는 ▲이정원 의장 ▲박동문 ▲이강원 ▲원숙연 ▲이준서 ▲주영섭 ▲이재술 ▲윤심 ▲이재민 등 총 9명이다.
하나금융 지배구조 내부 규범에 따르면 사외이사는 첫 임기 2년에 1년씩 연임이 가능하고 최장 6년까지 임기를 이어갈 수 있다. 하나금융 사외이사는 6년 임기를 채운 이 의장을 제외하고 5명이 임기가 만료되지만 최장 3년 더 임기를 이어갈 수 있다.
관심은 차기 의장 선임이다. 이 의장은 김정태 전 하나금융 회장 체제에서 임기를 시작해 함 회장의 경영 2기를 함께 한 인물이다. 새 의장이 약 3년간 임기를 이어갈 경우 다음 회장 선거를 치를 수 있다.
함 회장과 경영 안정을 도모하는 한편 향후 경영진 선임과 경영진의 업무를 감독·관리하는 무게를 지닌다. 아울러 올해 금융사고 예방을 위한 내부통제위원회 설치가 의무화되면서 그룹의 내부통제를 책임지는 초기 위원장을 맡을 전망이다.
━
'부회장 2인' 사내이사, 이호성 행장 추가되나━
하나금융 이사회의 또 다른 관전포인트는 사내이사 변화다. 하나금융의 사내이사는 함 회장, 이승열 부회장, 강성묵 부회장 겸 하나증권 대표이사 3인 체제다. KB금융(1명), 신한금융(1명)과 비교해 3배 많은 규모다. 앞서 하나금융은 이사회에 사내이사 1명(지주 회장), 비상임이사 1명(은행장), 8명의 사외이사로 이사회를 구성했으나 지난해 3월 사내이사 수를 3명으로 확대했다. 올 초 함 회장의 임기 만료에 앞서 현 경영진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서다. 사내이사 증가에 따라 사외이사진의 독립성이 희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외이사도 9명으로 늘렸다.
3명의 사내이사는 사외이사와 함께▲이사회운영위원회 ▲감사위원회 ▲리스크관리위원회 ▲경영발전보상위원회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후보추천위원회 ▲회장후보추천위원회 ▲그룹임원후보추천위원회 ▲지속가능경영위원회 ▲소비자리스크관리위원회 등 9개의 소위원회를 이끌고 있다.
하나금융은 이번 주총에서 사내이사 명단에 이호성 하나은행장을 추가할 것이란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 이 행장은 이승열, 강성묵 부회장과 함께 차기 회장 후보로 꼽히는 인물로 하나금융 경영 일선에 나설 것이란 분석이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1월 말 기준 하나금융 자사주를 보유한 경영진은 함 회장(1만5132주), 강 부회장(5026주), 이 부회장(3600주) 순이다. 이 행장은 지난해 말 취임 후 자사주 3000주를 매입하며 책임경영 의지를 드러냈다. 다만 금융당국이 사외이사에 사내이사 견제 역할을 주문한 만큼 사내이사 규모가 늘어나는 점은 하나금융에 부담이 될 수 있다.
하나금융 관계자는 "이사회는 주주, 이해관계자, 외부 자문 기관 등 외부 추천을 활용해 사외이사와 사내이사 후보군을 발굴한다"며 "금융당국이 사외이사의 경영진 견제와 감시, 경영 안정, 전문성 강화 등 역할을 주문하는 만큼 독립성과 안정성을 갖춘 이사회 구축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