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5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D.C 국회의사당에서 첫 의회 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KDI는 10일 발표한 'KDI 경제동향' 3월호에서 "정국 불안의 영향은 완화되고 있으나 대외 여건이 악화되며 경기 하방 위험이 높아졌다"며 이같이 진단했다.
KDI는 "가계와 기업의 심리지표는 지난해 말 정국 불안의 충격에서 점차 벗어나는 모습"이라면서도 "미국을 중심으로 통상 갈등이 심화되며 세계무역 위축에 대한 우려가 확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1월 전산업생산은 전년동기대비 3.5% 감소했다. 설 연휴와 임시공휴일로 조업일수가 전년동기와 비교해 4일 줄어든 점이 영향을 미쳤다.
소매판매는 전년동기 수준을 보였지만 고금리 기조와 소비심리 위축으로 여전히 부진한 모습이다. 설비투자는 조업일수 축소 등 일시적 요인으로 전년동기대비 3.1% 줄었다.
건설투자 부진도 이어졌다. 1월 건설기성은 전년동기와 비교해 27.3% 하락했다. 부동산 경기가 둔화되면서 선행지표 성격인 건축착공면적(-32.6%), 건설수주(-25.1%)도 감소했다.
2월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1.0% 증가했지만 일평균 기준으로는 전월보다 5.9% 감소했다. 미국의 관세 인상이 향후 수출의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망했다.
KDI는 "전체 수출에서의 비중을 고려했을 때 자동차, ICT 및 일반기계에 대한 관세 인상이 우리 수출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