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츠화재가 장기보장성보험 판매 확대 전략을 강화한다./사진=메리츠화재
장기보장성 보험은 가입기간 3년 이상인 질병보험, 상해보험, 운전자보험, 어린이보험 등이 대표적이다. IFRS17은 보험 부채를 평가할 때 원가가 아닌 시가 기준으로 평가해 CSM(신계약서비스 마진) 확보가 중요한데 저축성보험과 달리 장기보장성보험이 더 유리하다. 실제 메리츠화재는 지난해 역대 최대 순이익을 달성하는데 장기보장성보험이 큰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메리츠금융지주에 따르면 지난해 메리츠화재 별도 기준 순이익은 1조7105억 원으로 전년 대비 9.2% 증가했다. 이는 2020년 이후 5년 연속 사상 최대 이익을 기록한 것으로, '순이익 2조 원 고지'를 눈앞에 두고 있다.
메리츠화재의 지난해 매출액은 11조5578억 원으로 전년 대비 6.4%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2조2952억 원으로 9.0% 늘어났다.
보험손익은 장기인보험 중심의 수익성 확보 전략과 일반보험 부문의 성장으로 인해 전년 대비 2.4% 증가한 1조5336억 원을 기록했다. 또한, 신계약 보험서비스계약마진(CSM) 역시 1조4000억 원 증가해 장기 손익의 질적 성장을 이끌었다.
투자손익 또한 25.0% 증가한 7616억 원을 기록하며 업계 최고 수준의 자산운용 역량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지난해 4분기 말 기준 자산운용 투자이익률은 약 3.7%에 달한다.
메리츠화재는 재무 건전성을 보여주는 지급여력비율(K-ICS)에서도 업계 최고 수준을 유지했다. 지난해 4분기 말 기준 K-ICS는 247.6%로, 전년(242.2%) 대비 5.4%포인트 증가했다.
메리츠화재는 장기보장성보험 매출 확대를 위해 전속 설계사 조직과 메리츠파트너스(N잡러) 조직을 확대한다. 아울러 법인보험대리점(GA) 채널 매출을 더욱 끌어올려 시장 점유율을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여기에 지난해부터 강조해 온 TM(텔레마케팅) 매출도 강화해 1위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아울러 지난해 다수의 손해보험사가 적자를 기록한 자동차보험 부문에서도 메리츠화재는 흑자를 유지했으며, 올해 역시 이 기조를 이어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