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이 한국 영유아 사교육 과열이 저출산 문제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도했다. 사진은 지난 13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 학원가에서 한 어린이가 학원으로 등원하는 모습. /사진=뉴시스
외신이 한국 영유아 사교육 과열 양상을 조명했다.
지난 16일(이하 현지시각) 영국 매체 파이낸셜타임스(FT)는 "한국의 학문적 경쟁이 6세 미만 절반을 입시 학원으로 몰아넣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 6세 미만 영유아 중 절반에 가까운 47.6%가 사교육에 참여하고 있다는 한국 교육 당국 통계를 언급하며 높은 사교육비 부담이 한국 저출산 문제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FT는 한국 '학원'(hagwon)은 영어·수학·과학·글쓰기 등의 과목에 대한 수업을 제공하는 기관이라며 "한국 부모들은 자기 자녀가 최고 대학과 몇 안 되는 대기업 고소득 일자리를 위한 강도 높은 경쟁에서 앞서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학원에 의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근 한국에선 명문대 입시 준비를 넘어 영유아 학부모 사이 영어유치원 레벨 테스트를 준비하는 '4세 고시' 혹은 '7세 고시'라는 말이 유행할 정도로 사교육이 과열되고 있다. 교육부가 지난 13일 발표한 '2024 유아 사교육비 시험조사'에 따르면 6세 미만 미취학 아동 1인당 사교육비가 33만2000원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