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자산운용이 아시아 첫 버퍼형 ETF(상장지수펀드)를 오는 25일 상장한다. 사진은 18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KODEX 미국S&P500버퍼3월액티브' 소개 기자간담회. /사진=머니S 이예빈 기자
18일 삼성자산운용은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오는 25일 상장 예정인 'KODEX 미국S&P500버퍼3월액티브' ETF를 소개하는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이 상품은 S&P다우존스가 지난해 9월 발표한 'S&P500 10% 버퍼 인덱스 시리즈'를 비교 지수로 활용하는데 S&P500 지수에 투자하면서 옵션을 활용해 아웃컴기간 종료일 기준 약 10% 수준의 하락의 완충을 목표로 한다.
행사엔 박명제 ETF부문장, 임태혁 ETF운용본부장, 김선화 ETF운용팀장, 김범석 S&P(스탠더드앤드푸어스)다우존스코리아 대표 등이 참석했다.
임 본부장은 S&P500으로 선정한 이유에 대해 "투자하고자 하는 자산의 장기적 우상향에 대한 믿음"이라며 "해당 지수는 연평균 10% 넘는 성장률을 보였다"고 말했다.
버퍼형 ETF는 옵션 전략을 활용해 수익구조를 사전에 설계하는 '디파인드 아웃컴' 상품이다. 커버드콜 ETF처럼 분배금을 통해 일정한 현금흐름을 제공하는 옵션 활용 상품인 '디파인드 인컴'과 구분된다.
S&P500지수가 하락할 경우 손실을 완충하는 '버퍼'를 1년 만기 옵션으로 구축한다. 주식과 선물로 S&P500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며 풋옵션 매수와 매도를 통해 버퍼 구조를 설정한다. 풋옵션의 프리미엄을 지불해야 하는 과정에서 비용이 발생, 이를 상쇄하기 위해 비용만큼 콜옵션을 선택해 매도한다. 이 콜옵션의 행사가가 '캡'이다. 캡은 아웃컴기간인 1년 동안 상승할 경우 버퍼형 ETF가 추구할 수 있는 최대 상승치다. 환율 변동의 영향을 받는다.
이 상품이 활용하는 옵션은 만기 1년으로 오는 21일(미국 기준) 구성될 예정이다. 옵션 가격에 따라 버퍼형 ETF가 추구하는 최대 수익률인 캡이 결정되며 매년 옵션이 롤오버되기 때문에 캡 수준은 그 비용에 따라 매년 변동된다.
'KODEX 미국S&P500버퍼3월액티브' 설명 자료. /사진=머니S 이예빈 기자
버퍼형 ETF가 추구하는 수익 구조가 1년 단위로 설정돼 있기는 하지만 주식처럼 거래되는 ETF 특성상 언제든 매매할 수 있다. 다만 옵션의 만기가 1년인 만큼 옵션의 가치가 시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매도 시점에 따라 수익 구조가 차이가 날 수 있다는 점은 유의해야 한다. 이에 삼성자산운용은 KODEX 홈페이지에서 버퍼형 ETF의 누적 수익 추이, 종료일까지 보유 시 추구할 수 있는 ETF 잔여 캡, ETF 잔여 버퍼 등의 중요한 지표들을 매일 안내할 예정이다.
지수 하락에도 손실 완충을 추구하는 버퍼형 ETF는 ▲손실 리스크에 민감해 지금까지 주식에 투자하지 않았던 보수적인 투자자 ▲하락 리스크를 대비하려는 기존 S&P500지수 투자자 ▲구조화 상품을 잘 이해하면서도 투자 기간 중도 매매를 원하는 투자자들에게 적합한 상품이다. 김 팀장은 "기관투자가와 전문투자가만 가능했던 하락 리스크 관리를 개인들도 KODEX 버퍼 ETF 편입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임 본부장은 "버퍼형 ETF는 상품 구현 난도가 높은 만큼 S&P는 물론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를 포함한 금융 파트너와 오랜 시간 협업을 통해 만든 혁신적인 상품"이라며 "많은 전문가의 노력으로 탄생한 버퍼 ETF가 투자자들에게 새로운 투자 솔루션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