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은 건설산업 재탄생을 위한 3대 대전환으로 '산업 중점가치, 산업 체계, 시장·상품'의 전략 과제를 제안했다. 사진은 종합토론 모습. /사진=장동규 기자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은 18일 오후 서울 강남구 논현동 건설회관에서 '2025 건설산업 혁신을 위한 재탄생 세미나'를 열고 업계와 정부, 학계가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날 세미나에서 건설산업 3대 대전환의 과제로 '산업 중점가치, 산업 체계, 시장·상품'의 전략을 제안했다.
건설업계는 건설산업 재탄생 전략이 추진되기 위해서는 대상별 맞춤형 상품 확산과 홍보 전략이 중요하다고 봤다.
토론에 참여한 김영길 우미건설 사장은 "건설산업의 구조 문제와 정책 실패가 반복되어 왔다"면서 "지역 산업과 제조업이 원하는 것은 비즈니스하기 좋은 환경이고 이를 위해 대상별 맞춤형 상품 확산과 홍보 전략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정부도 지방 건설 경기를 회복하기 위한 추가 대책을 준비중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남영우 국토교통부 건설정책국장은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와 함께 협력해 지난해 대책을 마련했고 올해도 지방 건설 경기 보완책을 계속해서 추진중"이라며 "정부 부처간 회의를 통해 추가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
소비자 맞춤형 투자환경 조성━
한승구 대한건설협회 회장과 이충재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원장 등 참석자들이 18일 오후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열린 '2025 건설산업 혁신을 위한 재탄생 세미나'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장동규 기자
나경연 연구원 경제금융도시연구실장은 "공정한 시장 환경을 조성하려면 서민의 주거비 안정과 자산 형성 지원이 필요하다"며 "국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심 내 주택 공급 확대, 신개념 노후 주택과 도시 모델 개발, 노후 인프라 투자 확대, 스마트 건설 금융을 통한 지속 가능한 투자 생태계 구축 등이 필수"라고 말했다.
이어 "디지털 전환과 미래 상품 기술 혁신을 위해 민간 주도의 주택산업 선진화와 스마트시티 건설산업의 역할 확대, 건설 금융의 투명화·안정화를 통해 소비자 맞춤형 투자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스마트시티와 모듈러(조립식)건축, 제로에너지 하우스 등 기술혁신을 통한 신상품 개척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영길 우미건설 사장이 18일 오후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열린 '2025 건설산업 혁신을 위한 재탄생 세미나' 종합토론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한국건설산업연구원 제공
이날 세미나에서는 한승구 건산연 이사장의 개회사와 이충재 원장의 환영사, 그리고 박상우 국토부 장관과 맹성규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위원장의 영상 축사가 진행됐다.
종합토론에는 남영우 국토부 건설정책국장과 김영길 우미건설 사장, 이복남 서울대 건설환경종합연구소 교수, 한승헌 연세대 건설환경공학과 교수, 김한수 세종대 건축공학부 교수, 박수진 한국전력 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에너지정책학과 교수 등이 참석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