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선 한화갤러리아 전략본부장 부사장이 지난해 6월 서울 서초구 파이브가이즈 강남에서 열린 파이브가이즈 국내 오픈 1주년 기념 행사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지난 3월31일 한화그룹은 김승연 회장이 보유한 ㈜한화 지분 11.32%를 김동관 부회장, 김동원 사장, 김동선 부사장에게 각각 4.86%, 3.23%, 3.23%씩 증여한다고 공시했다.
증여 후 그룹 지주사격인 ㈜한화의 지분율은 ▲한화에너지 22.16% ▲김승연 회장 11.33% ▲김동관 부회장 9.77% ▲김동원 사장 5.37% ▲김동선 부사장 5.37% 등으로 재편됐다. 삼형제가 한화에너지의 지분 100%를 가지고 있으므로 형제들의 ㈜한화 지분율은 최종 42.67%에 이른다.
이번 증여로 한화그룹 3세들이 내야 할 증여세만 2218억원에 이른다. 이들은 앞서 2006∼2007년 김 회장이 ㈜한화 지분을 일부 증여할 당시에도 1216억원의 증여세를 납부했다.
이 가운데 3남 김 부사장이 납부해야할 세액은 633억원 규모다. 5년 분할 납부할 계획이며 재원은 개인 자산이나 증여된 주식 담보대출로 마련할 예정이다. 김 부사장의 지난해 보수는 한화갤러리아 12억9000만원, 한화호텔앤드리조트 9억7000만원으로 약 22억6000만원 정도다.
개인 보수나 자산만으로 감당하기엔 세액 규모가 크고 주식 담보대출을 하려면 실적과 주가를 함께 끌어올려야 한다. 3형제가 맡은 주요 사업 분야가 뚜렷하게 나뉘면서 경영 능력도 시험대에 올랐다.
━
갤러리아·호텔앤드리조트 영업익 68.1%·41.8% 감소━
한화갤러리아 부문 실적 추이. /그래픽=김은옥 기자
김 부사장이 경영 일선에 참여하기 시작한 2021년 이후 주요 계열사 가운데 실적이 우상향한 곳은 아쿠아플라넷, 에프지코리아 정도다. 업계에서는 본업인 갤러리아와 리조트 등 유통 분야 실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김 부사장이 그룹의 미래비전을 짊어진 만큼 푸드테크, 로봇 등 미래사업 성과도 내야 한다.
한화호텔앤드리조트 부문 실적 추이. /그래픽=김은옥 기자
김 부사장은 성과를 내기 시작한 푸드 쪽에 드라이브를 걸고 동력 확보를 꾀할 전망이다. 현재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업계 2위 급식기업 아워홈 인수도 추진하고 있다. 최근 2500억원을 출자해 구본성 전 부회장과 구미현 회장 외 2명의 지분 58.62%를 인수하기로 했다.
김 회장의 지분을 확보한 김 부사장이 아워홈 인수를 무사히 마무리하고 핵심 사업의 실적을 개선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