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대로 상호 관세 부과 조치를 단행하며 국내 자동차산업이 충격을 떠안게 됐다. 사진은 경기도 평택항 자동차 전용부두에 선적 재기 중인 수출용 자동차. /사진=뉴시스
3일 주요 외신 보도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는 상대국이 미국에 부과하는 관세 또는 비관세 장벽에 맞서 미국도 유사하거나 동일한 수준의 관세를 매기겠다는 의도가 깔렸다.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은 이미 1962년 무역확장법 제232조에 따라 별도의 고율 관세가 적용 중이어서 이번 명령의 10% 추가 관세 대상에서는 제외됐지만 여전히 25%의 고관세 적용을 받게 돼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 등 한국의 핵심 수출 품목은 직격탄을 피할 수 없게 됐다.
한국은 지난해 기준 전체 자동차 수출의 49.1%를 미국에 의존하고 있다. 연간 수출액금은 51조원에 달한다.
현대자동차와 기아, GM(제너럴모터스)한국사업장 등 주요 완성차 업체는 물론 수천 개가 넘는 관련 부품업체들도 대미 수출 비중이 높아 연쇄 충격이 불가피해졌다. 일부 중소 자동차 부품업체의 경우 미국 내 생산기지를 보유하지 않아 관세 부담을 고스란히 떠안게 됐다.
GM한국사업장은 전체 생산 물량의 85%를 미국에 수출하고 있어 수익성 악화에 직면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데다 한국공장 철수설까지 제기된다.
현대차그룹의 경우 정의선 회장이 최근 백악관을 방문해 트럼프 대통령에게 210억 달러(약 31조원) 규모의 미국 투자 계획을 전달하며 대응에 나섰다.
현대차는 미국 조지아주에 건설한 'HMGMA'(메타플랜트 아메리카)를 거점으로 현지 전기차 현지 생산 등을 확대해 수출 관세를 최대한 피해간다는 전략이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