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장이지난 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MBK-홈플러스 기업회생신청 관련 야3당 정무위원 기자회견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앞서 김 회장이 지난달 24일 투자자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홈플러스 사태에 대해 "홈플러스의 기업회생이 언론에 약간의 잡음을 일으켰다"(The Homeplus rehabilitation generated some noise in the press)고 밝혀 논란이 일었다. 시장에선 홈플러스 사태에 대해 평가절하한 것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민 의원을 포함한 국회 정무위원회 야당 의원들은 2일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김 회장을 향해 오는 10일까지 구체적 변제안을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진정성 없는 조건부 약속으로 국민을 기만하는 행태가 계속된다면 국회의 직무 유기로 국민의 권리를 저버리는 일이 될 것"이라며 "구체적인 재원 방안을 제시하지 않으면 온 국민을 기만한 죄를 청문회를 통해 반드시 묻겠다"고 밝혔다.
김 회장이 투자자들에게 보낸 서한이 도마 위에 오르며 정치권과 여론의 압박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홈플러스의 납품업체와 임대인, 채권 투자자, 채권 판매한 금융사 등이 일제히 피해를 호소하는 가운데 홈플러스 사태에 책임이 있는 최대 주주가 투자에서 '불이익은 불가피하다'는 뉘앙스로 발언했다는 이유에서다.
김 회장은 "우리의 모든 포트폴리오가 좋은 성과를 낸 것은 아니다"라며 "(홈플러스와 관련한) 여러 이해관계자 중 일부는 주주와 비교해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우리는 알고 있지만 모든 이해관계자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언급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