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증시가 3일(현지시각) 급락했다. 사진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날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상호 관세를 발표한 모습. /사진=로이터
3일(현지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679.39포인트(3.98%) 하락한 4만545.93에 마감했다. S&P(스탠더드앤드푸어스)500 지수는 274.45포인트(4.84%) 내린 5396.52에, 나스닥지수는 1050.44포인트(5.97%) 하락한 1만6550.60에 거래를 마쳤다.
S&P500지수와 다우지수 모두 2020년 6월 이후 최악의 낙폭이다. 나스닥은 2020년 3월 이후 최저다. 이는 전날 트럼프 대통령이 시장의 예상보다 더 강력한 관세 폭탄을 발표한 영향이다.
그는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물론 세계 각국에 10~50%의 상호 관세를 부과했다. 이는 100여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의 관세율이다.
미 증시에선 이날 하루 약 3조1000억 달러(약 4500조원) 규모의 시가총액이 증발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다우존스 마켓데이터를 인용해 전했다.
특히 대형 기술주가 일제히 급락하며 하락장을 주도했다. 아이폰을 대부분 중국에서 생산하는 애플은 9.25% 급락했다. 이로써 하루 새 시총이 3000억달러(약 435조6600억원)정도 사라졌다. 애플뿐만 아니라 M7(매그니피센트) 주식이 일제히 급락하며 M7 시총은 8000억달러(약 1161조7600억원) 정도 증발했다.
종목별로 전기차는 테슬라가 5.47% 급락하는 등 일제히 하락했다. 반도체주도 엔비디아가 7.81% 급락, 반도체 지수도 8.03% 하락 마감했다.
소매업체들도 타깃이 10.90%, 달러트리가 13.34% 폭락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장 매도세에 대한 질문에 "시장은 결국 붐을 일으킬 것"이라며 시장 반응을 무시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