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이 결정되며 부동산 정책 향방에도 관심이 집중된다. 사진은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사진=뉴시스
헌법재판소는 4일 오전 11시22분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 심판에서 재판관 전원 일치 의견으로 파면을 선고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정치 불확실성이 해소된 데 대해 경제 회복에 긍정 영향이 기대된다는 반응을 보이는 반면 금리 등 투자를 제한하는 환경의 변화는 빠른 시간 내에 이뤄지기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문재인 정부의 최대 실책으로 지목됐던 부동산 세금 정책에 있어서도 차기 정부가 수위 조절을 할지 관심이 집중되는 대목이다.
━
"부동산 양극화·경기 침체 지속할듯"━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이 결정된 4일 탄핵 반대 집회 모습. /사진=뉴시스
김효선 NH농협은행 WM사업부 ALL100자문센터 부동산수석위원도 "정치 불확실성이 해소됨에 따라 분양(공급) 등의 재개 가능성은 열렸지만 금리와 경기 여건이 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부동산 거래의 관망세가 더 짙어질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임재만 세종대 공공정책대학원 교수는 "정치 불확실성이 해소됐다고 해서 투자시장의 심리 변화가 크게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면서 "차기 정권이 들어선 후에 부담감이 해소돼야 관망세가 끝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오는 6월 초로 대선 일정이 예상되는 가운데 차기 정부의 부동산 정책은 시장 변동성을 움직일 수 있는 핵심 요인으로 지목된다. 한국은행이 지난해 10월부터 기준금리를 인하하기 시작했고 현재 대출 규제와 세금 등 정부 정책이 거래를 제한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송승현 도시와 경제 대표는 "탄핵이 인용됐다고 해서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이 완전히 해소된 건 아니다"라며 "국민의힘이 다시 정권을 잡으면 정비사업(재개발·재건축) 지원과 민간 주택공급이 지속될 수 있지만 반대로 정권 교체 시엔 공공주택 확대 방향으로 갈 가능성이 커 보인다"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