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그룹이 차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 테크 데이 행사를 열고 고도화된 하이브리드 기술력을 소개했다./사진=김이재 기자
현대차그룹은 지난 10일 서울 중구 '크레스트 72'에서 '현대자동차그룹 차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 테크 데이' 행사를 열고 고도화된 하이브리드 기술력을 소개했다.
한동희 전동화개발담당 부사장은 "현대자동차의 모든 파워트레인 기술력은 차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모두 연결되어 있다"며 "전기차 전환기에 전동화 기술력을 적극 활용한 혁신적인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그룹은 차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 변속기에 구동 및 회생 제동을 담당하는 구동 모터(P2) 외에도 시동 및 발전, 구동력 보조 기능을 수행하는 시동 모터(P1)를 새롭게 추가해 'P1+P2 병렬형 구조'를 완성했다.
엔진에 직접 체결된 P1 모터는 마찰 손실이 없어 에너지 전달 효율이 높고 주행 상황에 따라 P2 모터와 차량 구동력을 보조해 연비와 동력 성능을 끌어올린다. 부드러운 변속감과 소음 및 진동 저감 효과도 실현했다.
차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 변속기의 허용 토크는 기존 37.4kgf·m에서 46.9kgf·m로 약 25% 상향됐다. 고배기량 터보 엔진에 결합 시 최대 토크를 자연스럽고 강력하게 발휘할 수 있도록 했다.
대형 SUV에 탑재되는 가솔린 2.5 터보 하이브리드는 최고 연비 14.1km/ℓ, 시스템 최고 출력 334마력, 최대 토크 46.9kgf·m의 성능을 갖췄다. 동급의 2.5 터보 가솔린 모델 대비 연비는 약 45%, 최고 출력과 최대 토크는 각각 19%, 9%가량 높다.
신규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외에도 다양한 전동화 특화 기술을 하이브리드 차량에 적용해 상품 경쟁력을 높였다. ▲스테이 모드 ▲V2L(Vehicle To Load) ▲스마트 회생 제동 등 전기차에서 경험할 수 있었던 전동화 편의 기능이 새롭게 탑재됐다.
현대차그룹은 신규 하이브리드 변속기를 다양한 엔진에 조합해 100마력 초반부터 300마력 중반에 이르는 시스템 출력 커버리지를 구현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소형부터 대형, 럭셔리까지 폭넓은 하이브리드 라인업을 선보일 계획이다.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은 현재 3종에서 5종으로 늘어난다. 2.5 터보 하이브리드는 이달 양산을 시작한 현대차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에 최초 탑재된 후 현대차·기아의 타 차종에 순차적으로 적용된다.
2026년에는 후륜구동용 2.5 터보 하이브리드를 선보이고 제네시스 주요 모델에 순차적으로 탑재해 하이브리드 라인업을 럭셔리 브랜드까지 확장할 계획이다.
강동훈 제품권역전략팀 파트장은 "최근 대형 SUV, 럭셔리 차량 등에서 하이브리드 니즈가 증가하고 있다"며 "2025년을 시작으로 소형 차급부터 제네시스까지 현대차그룹의 주요 차량에 차세대 하이브리드를 순차적으로 확대 적용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차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두 개의 모터가 내장된 신규 변속기에 다양한 엔진 라인업을 조합할 수 있어 차량 특성에 맞춰 최적화된 성능과 연비를 제공한다./사진=김이재 기자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