옵션 매도 비중과 행사 가격에 따라 커버드콜 전략의 수익률이 달라진다. ATM 옵션을 100% 매도할 경우 상방 수익이 조기에 제한되지만, 옵션을 일부만 매도하거나 OTM 옵션을 활용하면 주가 상승분을 더 따라갈 수 있다. 타겟 커버드콜 전략은 하루 기준 10% 내외만 매도해 상방 여력을 확보하는 구조다.
1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 9일(현지시각) 나스닥100 지수는 하루 만에 12.02%, S&P500은 9.52% 급등했다. 이에 따라 옵션 매도 전략을 활용한 커버드콜 ETF들의 수익률도 엇갈렸다.
대표적으로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타겟데일리커버드콜' ETF는 하루 단위로 콜옵션을 분할 매도해 평균적으로 10% 내외의 옵션만을 매도하는 전략을 쓴다. 덕분에 주가 상승분의 약 90%를 상방 제한 없이 따라갈 수 있다.
실제로 이 전략을 사용하는 'TIGER 미국나스닥100타겟데일리커버드콜'과 'TIGER 미국S&P500타겟데일리커버드콜'은 전날 각각 11.78%, 9.40%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원지수 상승분의 98% 수준을 반영했다.
반면 하루에 100% 옵션을 매도하는 전통적인 커버드콜 ETF는 같은 날 수익률이 4% 미만에 그쳤다. 'KODEX 미국S&P500데일리커버드콜OTM'은 2.807%, ACE 미국500데일리타겟커버드콜(합성) 3.11%를 기록했다.
타겟 커버드콜 전략은 콜옵션 매도 비중을 낮춰 상방 수익 제한을 줄이는 것이 핵심이다. 하루 단위로 옵션을 일부만 매도함으로써 주가 급등 시 그 이익 대부분을 포기하지 않고 따라갈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 전략은 급등장이나 완만한 상승장에서 특히 유리하다. 기존 커버드콜 전략이 상승장에서 수익률을 제한하지만 타겟 커버드콜은 상승을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국내 상장된 커버드콜 ETF 대부분이 아직 ATM 옵션 100% 매도 전략을 고수하는 상황에서 매도 비중을 전략적으로 조절하는 상품은 드문 편이다.
옵션 매도 비중이 낮다 보니 수취하는 프리미엄이 적어 시장이 횡보하거나 하락하는 구간에서는 일반 커버드콜 전략보다 수익 방어 측면에서 아쉬울 수 있다는 점은 유의할 필요가 있다.
김수영 미래에셋자산운용 전략ETF운용본부 선임매니저는 "타겟 커버드콜 전략은 투자자가 설정한 목표 수익률(분배 비율)에 맞춰 옵션을 매도할 수 있으며 특히 데일리 옵션 전략은 먼슬리 옵션 전략에 비해 동일 기간 동안 더 높은 프리미엄의 옵션을 매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데일리 타겟 커버드콜은 비싼 옵션을 최소한으로 매도해 상방 여력을 살릴 수 있어 원지수의 변동성이 큰 지금 같은 시기에 더욱 적합한 전략"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