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이 서울대와 손잡고 꿈의 에너지로 불리는 핵융합 발전 분야 기술을 공동 개발한다. 사진은 기념촬영하는 이한우 현대건설 대표(왼쪽)와 유홍림 서울대 총장 모습. /사진=현대건설
현대건설이 서울대와 함께 핵융합 발전 분야 기술을 공동 개발한다.
현대건설은 지난 14일 서울대와 '초전도 기반 핵융합로 기술 개발 및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핵융합 발전은 수소 등의 연료를 플라스마 상태에서 섭씨 1억도 이상의 초고온으로 가열해 원자핵을 결합해 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원료가 풍부하고 폭발 위험성이 낮아 안전한 데다 배출가스와 방사성 폐기물 발생량이 적어 꿈의 에너지로 불린다.


핵융합 과정의 핵심은 초고온의 플라스마를 오랜 시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초전도자석의 강력한 자기장이 초고온의 플라스마를 가두는 역할을 하는데, 초전도자석을 만들기 위해서는 특정 조건에서 전기 저항 '0'(Zero)이 되는 특수 물질인 초전도체가 필수다.

차세대 에너지로서 막대한 잠재력을 지닌 만큼 고도의 기술적 과제 해결을 위해 전 세계 주요 기관과 기업들이 대규모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연구개발에 매진 중이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현대건설과 서울대학교는 국내외 초전도 기반 핵융합로와 핵융합용 초전도에 대한 ▲공동 연구 및 기술 개발·이전 ▲사업 개발 및 참여 ▲인력지원 및 상호협의체 운영 등에 긴밀히 협력할 계획이다.


현대건설은 대형원전, 소형 모듈 원전(SMR)을 포함한 다양한 플랜트 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핵융합 발전소 건설 및 사업화에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서울대는 핵융합과 초전도 분양의 핵심 기술 연구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학교는 핵융합과 초전도 분야의 핵심 기술 연구에 박차를 가함으로써 두 기관의 독보적인 역량에 기반한 시너지를 창출해 미래 에너지 혁신을 이끌어나갈 방침이다.

이한우 현대건설 대표는 "대한민국 산학계 대표 기관의 협력이 미래 에너지 전환의 새로운 동력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