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서울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서교연) '서울교원종단연구'에 따르면 '향후 기회가 된다면 이직하고자 한다'는 교사는 초등학교가 42.5%로 가장 많았다. 중학교(34.8%), 고등학교(34.7%)와 차이가 컸다.
초등교사는 교직 경력 13년 차까지 이직하려는 교사가 10명 중 6명에 달했다. 4년 차 초등교사 58.0%가 '향후 기회가 되면 이직하고자 한다'고 답했다. 8년 차는 62.0%, 13년 차는 60.8%로 이직 의향이 더 강했다. 18년 차도 40%가 넘었다.
저 경력 초등교사는 정년까지 재직하지 않겠다는 응답도 10명 6명(62.1%)에 달했다. 8년 차도 정년까지 재직하지 않겠다(56.2%)는 응답이 더 많았다. 전체 평균도 초등교사는 49.5%로 절반에 가까웠다. 중학교(37.7%), 고등학교(36.5%)와 10% 포인트 넘게 차이가 났다.
서교연은 높아진 업무 부담감과 낮은 임금 때문에 교사의 직무·생활 만족도가 낮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 '적절한 보수'를 의미하는 '분배 공정성' 문항의 평균값은 초등학교 1.91점, 중학교 2.07점, 고등학교 2.22점으로 '보통'(3점) 보다 낮았다. 5점 척도에서 1점은 '전혀 그렇지 않다', 2점은 '그렇지 않다'는 의미다.
업무 부담감의 경우 초·중학교는 '학부모 상담'이 가장 높았고 두 번째가 '행정 업무'였다. 특히 초등교사는 '학부모 상담'에 대한 부담감이 4.25점으로 전체 교사 중 가장 높았다. 행정 업무(3.86점)도 3점대 후반으로 부담감이 높았다.
서교연은 "업무 책임은 증가하는 데 비해 성취감이나 보람은 적고, 낮은 보수와 현실성 없는 수당이 교사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결국은 교직이 명예, 성취, 보람, 돈, 그 어느 하나도 제대로 이룰 수 없는 직업으로 전락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에는 서울 초중고에 재직 중인 4·8·13·23·28년 차 교사 2503명이 참여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