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의원실(국민의힘·경남 진주시을)에 따르면 2019년부터 올해 4월까지 발생한 금융사고는 총 468건, 발생금액은 8422억8400만원에 달했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9년 424억4000만원(60건) ▲2020년 281억5300만원(74건) ▲2021년 728억3000만원(60건) ▲2022년 1488억1600만원(60건) ▲2023년 1423억2000만원(62건) ▲2024년 3595억6300만원(112건)으로 지난해 역대 최고치를 갱신했다. 올해는 이달 14일까지 104일 동안에만 발생한 금융사고 규모는 481억6300만원(40건)으로 집계됐다.
금융사고 종류별로 살펴보면 ▲업무상 배임이 2524억9400만원(59건)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횡령·유용 1909억5700만원(203건) ▲사기 1626억100만원(161건) ▲도난·피탈 13억5100만원(15건) 등의 순이다.
업권별로 살펴보면 금액기준 ▲은행이 4594억9700만원(54.6%/269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증권이 2505억8400만원(29.8%/49건) ▲저축은행 571억200만원(6.8%/48건) ▲손해보험 472억5500만원(5.6%/44건) ▲카드 229억6600만원(2.7%/18건) ▲생명보험 48억8000만원(0.6%/40건) 순이다.
강민국 의원은 "지난 6년여간 금융사고 규모가 8500억원에 달하며 배임, 횡령이 절반 이상이라는 것은 임직원의 준법의식과 내부통제 장치가 작동되지 않는다는 것이며 또한 금융 당국 관리·감독도 한계치에 도달한 것"이라고 짚었다.
이에 강 의원은 "금융사고의 빈도와 피해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시 소비자의 자산 피해뿐만 아니라 시장 불안 발생으로 인해 금융기관 및 실물경제로의 리스크 전이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며 "업권별 금융사고 분석을 통해 강화된 맞춤형 내부통제방안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