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보건복지부 치매역학조사에 따르면 올해 기준 부산지역 65세 이상 추정 치매환자는 약 7만명에 달한다. 고령화 가속화에 따라 경도인지장애 진단자와 독거노인 등 치매 고위험군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올해 부산시 치매안심센터 운영 지원 예산은 130억원으로 지난해보다 13억원이 되레 줄었다.
이에 이종환 부산시의원(국민의힘, 강서구1)은 치매 지원정책의 전면적인 재정비와 예산 확충을 강력히 촉구했다.
이 의원에 따르면 치매안심센터는 치매환자와 그 가족을 지원하는 지역사회 기반의 핵심기관임에도 불구하고 현장 인력 부족과 비정규직 중심의 고용 구조로 인해 지속적이고 연속성 있는 관리와 돌봄 서비스 제공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구·군별 치매안심센터는 해마다 증가하는 치매 환자 수를 감당하기에는 전문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치매공공후견사업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이 의원은 "인지능력 저하로 인해 법적 행위가 어려운 치매노인을 지원하기 위해 반드시 추진돼야 할 사업임에도 불구하고 예산 삭감으로 인해 후견인 활동비 지급, 사업 홍보, 사례관리 등 전반적인 사업 운영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치매안심센터를 중심으로 보건·의료·복지 등 유관기관 간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고령 1인 가구와 경도인지장애자 등 치매 고위험군이 지역사회에서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도록 사회적 건강 로드맵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며 "이를 위해서는 부산시의 정책적 의지뿐만 아니라 충분한 재정적 뒷받침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부산시는 치매환자와 가족이 실제로 필요로 하는 지원이 무엇인지를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부산시는, 치매환자 보호자, 현장 종사자,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정책토론회를 개최하는 등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