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한국과의 관세 협상에 대해 윤곽이 잡혀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사진은 베선트 장관이 지난 29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기자 브리핑을 하는 모습. /사진=로이터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한국과의 관세 협상에 대해 "그들은 협상에서 앞서가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29일 뉴시스에 따르면 베선트 장관은 이날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열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100일 기념 기자회견에서 한국, 일본, 인도 등 아시아 국가들과 협상이 언제 완료되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밝혔다.


베선트 장관은 "JD 밴스 부통령이 지난주 인도에서 나렌드라 모디 총리를 만나 매우 좋은 진전을 이룬 것 같다"며 "인도에 대한 어떤 발표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어 "한국과의 협상 윤곽이 잡혀가는 것을 볼 수 있다"며 "일본과도 상당한 대화를 나눴다"고 설명했다.

한국은 지난 24일 한·미 2+2 통상 협의에서 상호·품목별 관세 폐기를 위한 '7월 패키지'를 내놓겠다고 미국을 설득했다. 또 향후 협상에서 한국 정치 일정 등을 감안해달라며 미국 측에 이해를 구했다.

베선트 장관은 한국과의 협의가 만족스러웠다는 반응을 여러 번 언급했다. 베선트 장관은 지난 28일 언론 인터뷰에서도 한국과의 협상에 대해 "매우 잘 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미국에서는 한국과 일본 등 협상국 정치 일정 탓에 상호관세 유예기간인 90일 이내에 협상이 어렵지 않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베선트 장관은 취재진이 한국이 7월 전에 포괄적 합의에 이르지 않겠다고 하는데 상호관세 유예를 더 연장할 것인지 묻자 "그 반대라고 하겠다"며 "우리와 나눈 대화를 보면 실제 이들 정부는 선거가 시작되기 전에 미국과 무역 협정의 틀을 마무리 짓고 싶어 한다고 생각한다. 그들이 미국과 성공적으로 협상했다는 점을 보여주기 위함"이라고 반박했다. 이어 "그래서 우리는 그들이 협상장에 나와서 일을 마무리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귀국해 선거 운동을 할 것이라 보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