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후보는 30일 서울 여의도 대하빌딩 캠프에서 "오랫동안 중산층을 힘들게 했던 세금을 줄여 우리 경제의 허리를 튼튼하게 하겠다"며 "중산층을 보호할 감세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후보는 종합소득세 산정에 물가연동제를 도입해 중산층의 세 부담을 줄일 방침이다. 물가는 상승하는데 과세표준과 공제액은 10년 이상 유지되고 있어 실질적인 세 부담이 늘고 있다고 김 후보 측은 진단했다. 물가연동제는 혜택은 서민 중산층에 집중돼 빈부격차 해소에 도움이 될 것이란 게 김 후보 측 설명이다.
우선 기본공제액을 현행 150만원에서 300만원으로, 70세 이상 경로우대자 공제액을 현행 100만원에서 200만원으로, 장애인 공제액을 현행 200만원에서 300만원으로 상향 조정할 예정이다. 은퇴자의 노후생활 보장을 위해 금융소득 종합과세 기준금액은 2000만원에서 3000만원으로 올린다.
열심히 일하는 직장인들의 세 부담을 낮추기 위해 성과급에 대한 세액을 감면해 보상 효과를 극대화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이 밖에 자녀 수와 무관하게 지원하던 6세 이하 자녀 월 20만원 비과세 혜택을 자녀 1인당 20만원으로 확대하고 2000cc 이하 승용차·전기차의 개별소비세는 과세 대상에서 제외할 계획이다.
상속세도 개편한다. 배우자 간 상속세를 없애고 유산세 방식의 상속세를 유산취득세 방식으로 바꾸는 게 골자다. 가업의 계속 운영을 통한 일자리 유지를 위해 상속세를 자본이득세 방식으로 개편하기도 한다. 상속세 최고세율(50%)을 국제 수준(30%가량)으로 낮추고 최대주주 할증(20%) 제도도 폐지할 방침이다.
김 후보는 "이번 감세 공약은 우리 경제를 지탱하는 중산층에게 꼭 필요한 정책"이라며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춰 세금을 정상화해 중상층이 두터워질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