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현장 추락사고가 잇따라 발생하며 주요 건설업체 최고경영진(CEO)들이 현장 안전점검에 나서고 있다. 사진은 이한우 현대건설 대표(왼쪽 첫 번째)가 지난달 현장 안전점검을 진행한 모습. /사진 제공=현대건설
건설현장의 추락사고가 반복되며 정부가 대책 마련으로 경영진의 현장 안정경영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주요 건설업체 최고경영자(CEO)들은 현장의 안전점검을 강화하는 모습이다.

11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최근 대형 건설업체 CEO들은 정부의 안전정책 기조에 직접 현장 방문을 강화하고 있다. 허윤홍 GS건설 대표이사 사장은 지난 7일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의 아파트 건설현장을 찾아 안전시설을 점검했다.


앞서 김보현 대우건설 대표이사 사장은 지난달 23일 경기 부천시 아파트 건설현장을 방문했다. 같은 달 25일 이한우 현대건설 대표이사 부사장도 경기 수원시 현대자동차 하이테크센터 현장을 방문한 바 있다.

경영진들은 현장에서 가설 비계(임시 설치 가설물)와 안전 사각지대를 점검했다. 현장 근로자와 소통을 통해 안전 취약점을 발굴하는 등 안전문제 개선에 집중한 것으로 전해졌다.

사진은 허윤홍 GS건설 대표(왼쪽 첫 번째)가 지난 7일 현장 안전 점검을 진행한 모습. /사진 제공=GS건설
이 같은 행보는 최근 국토교통부가 실시한 '추락사고 예방 릴레이 캠페인'의 차원에서 이뤄졌다. 정부는 지난 2월 '건설현장 추락사고 예방 대책'을 발표하고 지난달 13일 캠페인을 시작했다. 추락사고 근절과 안전문화 확산이 목적이다.


캠페인에는 삼성물산 건설부문(이하 삼성물산), 현대건설, 대우건설, GS건설, SK에코플랜트, 한화 건설부문(이하 한화) 등 6개 업체가 참여했다. 오는 23일까지 6주 동안 순차 진행될 예정이다. 삼성물산은 지난달 15일 안병철 최고안전보건책임자(CSO) 부사장이 오세철 대표이사 사장을 대신해 현장 점검을 실시했다.

한화 건설부문과 SK에코플랜트는 오는 12일부터 캠페인에 참여한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캠페인에 회사 자체 'CEO 및 임원 현장 안전점검'을 실시했다.
"경영진 현장 방문 안전문화에 기여"
국토부에 따르면 국내 건설사고 사망자 수는 2020년 458명에서 지난해 328명으로 약 28.4% 감소했다. 그러나 여전히 산업재해 사망자 중 건설업 비중은 39.7%에 달한다. 건설사고 유형으로 추락 사고(55.6%)가 가장 많다. 안전대 부착 설비 미설치, 고정 미흡, 미착용 등 기초 안전수칙 미준수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국토부는 단순 규제를 넘어 교육, 기술, 책임 체계, 인센티브를 포함한 정책을 시행해 추락사고 사망자를 줄이겠다는 구상이다. 이와 관련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건설현장 추락사고 예방 세미나'를 열어 건설안전 혁신 방안을 발표했다.

경영진의 현장 방문이 공사 기간 연장 등 효율성을 저하시킨다는 지적도 있지만 기업의 책임이 강화될 것이라는 기대가 크다. 국토부는 CEO의 현장 방문을 독려해 사고 발생률을 절반으로 낮추겠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 김태병 국토부 기술안전정책관은 "CEO가 방문시 현장이 깨끗해진다"며 "현장 정리만 잘돼도 사고 확률을 50%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사진은 김보현 대우건설 대표(오른쪽 두 번째)가 지난달 말 현장 안전 점검을 진행하는 모습. /사진 제공=대우건설
추락 위험이 높은 공정일 현장책임자에 대한 실명제 도입, 점검 실적 우수 기업은 기술형 입찰시 가점 부여 등의 대책도 논의중이다. 국토부는 현재 가동 중인 건설안전 전담조직(TF)의 운영 결과를 종합해 상반기 내 건설안전 종합대책을 수립할 방침이다.

안전한 건설환경 조성을 위해 실효성 있는 제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재희 전국건설노조 노동안전보건실장은 "추락 재해 중 절반 이상은 안전시설 미비가 원인"이라며 "다단계 하도급으로 책임 소재가 불분명해지는 구조 문제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공기를 맞추기 위해 개구부 덮개나 안전 발판 등이 제대로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하는 경우가 많아 적정 공기 산정도 중요하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