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일 뉴스1에 따르면 이날 오후 6시53분쯤 윤 전 대통령은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 심리로 열린 내란 우두머리 혐의 3차 공판을 마치고 지상 출입구를 통해 법정을 빠져나갔다.
윤 전 대통령은 ▲김건희 여사의 공천 개입 의혹 ▲비상계엄 선포에 대한 사과 여부 ▲자신을 여전히 자유민주주의자로 생각하는가 등의 질문에 아무런 반응도 하지 않고 굳은 표정으로 차에 탑승했다.
앞서 윤 전 대통령은 오전 9시45분쯤 법원에 도착할 때도 "비상계엄을 사과할 생각이 있는가" "군부 정권 이후 최초로 계엄을 선포한 대통령인데 자유민주주의자로서 책임을 느끼는가" "김건희 여사 의혹을 여전히 정치공세로 보는가" 등의 질문을 모두 무시했다.
윤 대통령 측 변호인단의 윤갑근 변호사는 "현재 대선이 쟁점이 되는 상황에서 대통령이 언론에 입장을 밝히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또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로 추가 기소된 데 대해서는 "법리적으로 본소에 포함되는 사안인데 내란죄 성립이 불투명하다고 판단해 정치적 이유로 추가 기소한 것"이라며 "고육지책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윤 전 대통령은 구속 기소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등과 공모해 전시·사변 또는 이에 준하는 국가비상사태의 징후 등이 없었는데도 위헌·위법한 비상계엄을 선포하는 등 국헌 문란을 목적으로 폭동을 일으킨 혐의를 받는다. 이 과정에서 계엄군과 경찰을 동원해 국회를 봉쇄하고 비상계엄 해제 의결을 방해했으며 우원식 국회의장,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등 주요 인사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직원을 체포·구금하려 한 정황이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