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간담회에는 이 후보와 이주영 개혁신당 의원, 대구광역시의사회·경상북도의사회, 경북대·계명대·영남대·가톨릭대 병원장 및 의대 관계자 등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민복기 대구시의사회 회장은 이 후보에게 직접 의료정책 제안서를 전달했다.
의료 인프라가 취약한 농어촌·도서·벽지 지역의 의료서비스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전문인력 지원 강화 ▲보건소 기능 개편 ▲지역의사 채용 확대 ▲지역 수련체계 확충 ▲농어촌 의료정착 패키지이 주요 정책 제안이다.
간담회를 시작하며 이 후보는 "의료인의 의지를 의심하고, 적극적인 의료행위에 대해 소송이나 형사책임을 지우는 분위기에서는 환자를 살릴 수 있는 결단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며 "공공의료는 일방적 강제가 아니라 어렵고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이들에게 실질적 지원이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윤석열 정부의 의대 증원 방안과 관련해 "지역에 의사를 보내겠다는 낙수이론은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비합리적 정책"이라며 "공중보건의 문제는 권역별 수가 조정이나 지역 기반 인센티브로 접근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의사가 군입대 외 선택지를 제한받고 자율성이 무시되는 구조 자체가 비정상"이라며 "전공의 복귀 문제도 자율성 회복과 의료계와의 신뢰 회복 없이 풀 수 없다"고 말했다.
이병헌 경북대 의대학장은 "학생들의 복귀율이 전국적으로 낮고, 6월까지는 강의 정상화가 이뤄져야 한다"며 조속한 제도 안정화를 촉구했다. 그는 "보건부 분리와 중개연구 중심의 R&D 체계 필요성도 함께 검토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이 후보는 "보건정책은 복지와 분리해 연구·산업과 연결되는 독립된 구조로 재편할 필요가 있다"며 "의사 직역도 임상에서 연구까지 전환되는 흐름이 생기고 있으며, 이에 맞는 정책 설계가 중요하다"고 답했다.
이주영 의원도 발언에 나서 "지역 의료의 위상은 여전히 높지만, 의사들의 권위와 경험이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며 "자율성과 탁월성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의학은 지속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1982년 대구에서 태어난 사람으로서 대구 의료의 부활을 위해 끝까지 책임지겠다"고 밝혔다.
민 회장은 간담회 말미에 "의료계와 정치권 간 신뢰 회복이 시급하다"며 "대구 의료계를 대표해 개혁신당이 일관된 입장과 실질적 정책으로 의료현안을 풀어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