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전시는 지난해 10월 아시아 최대 규모 미술시장 홍콩에서 열린 대표 예술 전시회 '2024 파인아트 아시아'(Fine Art Asia)에 참가해 선보인 한국현대도예전을 국내 관람객을 위해 새롭게 재구성한 귀국전이다. 홍콩에서 2만 2000여 명의 관람객을 기록하며 현지의 찬사를 받았다.
전시에는 총 9명의 한국 현대 도예가가 참여해 한국 전통 도자의 제작 기법과 형태 등을 작가만의 현대적 미감으로 재해석한 오브제 작품 110여 점을 선보인다. 각 전시 공간마다 참여 작가별 개인전 형식으로 진행한다.
강민수 작가는 양구 백토와 장작가마라는 전통 재료와 기법을 활용해 18세기 백자대호, 이른바 '달항아리'를 현대적으로 재탄생시켰다. 김덕호 작가는 조선백자의 '면치기 기법'과 고려청자의 '연리문 기법'을 접목한 '흔적 시리즈'를 통해 시간의 흐름이 스며든 백자를 선보인다.
김호정 작가는 고대 빗살무늬 토기와 조선백자에서 형태를 차용하고 청화·철화 등의 색감을 장식적으로 더해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조형미를 드러냈다.
이 밖에도 조선 초기 분청사기 '덤벙 기법'을 활용해 분장토 고유의 철학적 미감을 탐구한 박성욱 작가, 고려 전통공예의 '금입사 기법'으로 도자 표면의 장식성을 확장한 양지운 작가, 고려청자 특유의 '비색'을 바탕으로 색채 스펙트럼을 넓히며 전통 색의 가능성을 실험한 이동하 작가의 작품을 함께 전시한다.
최문환 한국도자재단 대표이사는 "이번 전시는 세계 무대에서 큰 호응을 얻은 한국 현대 도예의 수준과 가능성을 국내에서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가 될 것"이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