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이날 이같은 내용의 '금융권 부동산PF 정리·재구조화 실적'을 발표했다. 그동안 금융당국은 금융회사의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PF사업성 평가를 유도하기 위해 관련 평가기준을 개선하고 부실 사업장을 솎아냈다.
PF사업성 평가등급은 ▲양호 ▲보통 ▲유의 ▲부실우려 등 4단계로 구분된다. 이중 유의·부실우려 등급이 구조조정 대상이다. '유의' 등급 사업장은 재구조화·자율매각 절차를 밟는다. '부실우려' 등급 사업장은 상각 처리·경공매로 정리된다.
금융당국은 전체 23조9000억원 규모의 부실PF 사업장 중 지난 3월 기준 9조1000억원(38.1%)을 정리·재구조화했다. 다음달까지 12조6000억원(52.7%)을 구조조정할 방침이다. 이는 전체 부실PF 중 절반에 달하는 수준이다.
다음달 말까지 3조5000억원을 추가로 정리한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올 2분기 중 ▲중대형 사업장 정리 1조6000억원 ▲PF 정상화 펀드 매각 1조5000억원 ▲정보공개 플랫폼 활용 4000억원 등으로 정리한다.
중대형 사업장(500억원 이상)은 양해각서(MOU)를 제출하고 추가 자금조달계약을 체결한다. PF 정상화 펀드의 경우 저축은행 4차 PF 정상화 펀드를 통해 PF 여신을 매각한다. 실사와 가격협의를 거쳐 다음달 중 매각 절차가 마무리될 예정이다.
경·공매 플랫폼에 공개된 부실사업장은 다수의 매수의향자가 적극적인 매수 의사를 보이거나 수의계약 체결을 위해 가격협상을 앞두고 있다. 금융당국은 이를 통해 PF대출 고정이하여신비율 5.5%포인트 인하, 연체율 4.1%포인트 감소 등 건전성 개선 효과를 예상하고 있다. 아울러 하반기에는 우량 사업장을 중심으로 신규 PF 대출을 통해 자금 공급 기능이 강화될 것이라고 본다.
금융당국은 부동산 시장 회복 지연에 따른 추가부실 발생 가능성이 있는 만큼 구조조정을 상시 추진하는 등 부실PF 관리를 지속할 계획이다. 부실정리가 미진한 개별 금융사에 대해서는 현장점검과 충당금 추가적립 등을 통해 건전성 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다.
현장 검사를 통해 확인된 PF대출 취급 관련 미비점도 즉시 보완하도록 지도한다. 검사 결과에 따르면 저축은행 여신담당자는 법무사 등을 통해 PF대출 차주의 자금조달 알선을 의뢰하고 금전을 수수했다. 금융사 PF 여신담당자는 본인이 운영하는 회사와 PF 컨설팅 계약을 체결하도록 하거나 용역 수수료를 과다책정했다.
한구 금감원 부원장보는 "지난해 하반기 새로운 사업성 평가 기준 도입으로 시작된 1년간의 부실 PF 정리가 상당 부분 마무리될 계획"이라며 "잔여 부실이 1조원 안팎 감소해 관리 가능한 수준이고 PF 시장 충격을 상당 부분 해소했다"고 평가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