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전기차 화재 안전관리 대책에 따라 14개 제조사가 자발적 안전점검을 실시한다. 사진은 서울시내 한 빌딩 지하에 마련된 전기차 충전소.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사진=김창성 기자
정부가 합동으로 발표한 전기자동차 화재 안전관리 대책에 따라 14개 제조사가 자발적 안전점검에 나선다.

28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8월 발생한 전기차 화재 사고와 관련해 정부 합동으로 발표한 '전기차 화재 안전관리 대책'에 따라 전기차 제작사에 무상 안전점검을 권고했다.


국토부는 전기차 화재예방과 운전 안전 확보를 위해 현대자동차·기아·메르세데스-벤츠 등 제작사에서 전기차 무상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있으며 일부 제작사는 이달부터 추가 안전 점검 일정을 확정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안전점검에는 현대차·기아·KG모빌리티·BMW·벤츠·테슬라 등 총 14개 전기차 제작사가 자발적으로 참여한다.

현대차·기아·폭스바겐·아우디 등 일부 전기차 제작사에서는 특정 기간에 국한하지 않고 연중 상시 무상 안전점검을 진행한다.


점검 항목은 고전압배터리의 상태, 배터리 냉각시스템 등 안전 관련 항목을 중점적으로 살핀다. 배터리 하부 충격 여부 등 외관 상태도 함께 점검하며 이상이 있을 경우 수리 받도록 안내한다.

구 버전의 배터리 관리시스템(BMS)이 탑재된 일부 차종은 고전압배터리 상태 모니터링 기능을 강화하는 SW(소프트웨어) 업데이트도 진행한다. 리콜(시정조치) 이행 여부도 확인해 관련 조치도 함께 받을 수 있도록 한다.

김흥목 국토교통부 모빌리티자동차국장은 "지난해 전기차 화재사고 이후 전기차에 대한 국민 우려가 큰 만큼 전기차 이용자들도 이번 무상 안전점검에 적극 참여해 주길 바란다"며 "전기차 안전 확보를 위한 소비자 보호 조치와 제도 개선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