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연혜 한국가스공사 사장과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 /그래픽=김은옥 기자(챗GPT)
최연혜 한국가스공사 사장과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가 오랜만에 같은 정권에서 마주하게 돼 주목받는다. 두 사람은 2006년 한국철도공사 부사장과 철도 노조위원장으로 처음 만나 삼일절 파업 당시 대립 관계를 형성했었다.

1일 업계에 따르면 김 후보자는 국회 소관 상임위원회가 주관하는 장관 후보자 청문회 준비에 한창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23일 김 후보자를 비롯한 11개 부처의 장관 후보자를 발표했다.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김 후보자는 민주노총 위원장을 역임하며 노동의 목소리를 대변해 온 인물"이라며 "산업재해 축소, 노란봉투법 개정, 주 4.5일제 등 일하는 사람 권리를 강화하는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지명 이유를 밝혔다.


김 후보자는 1992년 철도청에 입사해 34년 동안 기관사로 근무했다. 전국철도노동조합 20대와 26대 위원장과 전국운수산업노동조합 초대 위원장,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현직 한국철도공사(코레일) 부산승무사업소 소속 기관사로 근무했으며 정년까지 3년을 앞둔 상황에서 장관 후보자가 됐다.

철도업계에 오랫동안 종사한 김 후보자의 이력이 관심을 받으면서 최 사장과의 관계가 재조명됐다. 두 사람의 인연은 약 20년 전 각각 철도 노조위원장과 코레일 부사장 재직 당시 시작됐다. 임기가 겹쳤던 2006년 3월 1일 철도노조가 총파업을 단행하면서 갈등이 심화했다. 당시 최 사장은 코레일의 경영전략·기획 등을 담당하는 부사장이었고 김 후보자는 노조를 이끌며 노동자 권익 보호에 앞장섰다.

철도노조는 ▲철도 상업화 철회 및 공공성 강화 ▲67명 해고자 전원 복직 ▲인력 충원 ▲KTX 여승무원 등 비정규직 차별 철폐를 요구하면서 총파업에 돌입했다. 주 5일제 시행에 따른 필요 추가 인력 2250명을 충원해달라고 촉구했다. 주5일제는 2004년 7월부터 공공기관과 1000인 이상 사업장부터 시행됐는데 채용이 더뎌 일손이 부족했다.


하지만 코레일과 정부는 철도노조 파업에 강경하게 맞섰다. 중앙노동위원회가 사전에 코레일과 노조의 갈등에 대해 '직권 중재' 결정을 내려놓았다는 이유에서다. 코레일은 불법 파업을 이유로 파업 기간 2244명의 노조원을 직위 해제하는 등 고강도 압박을 가했다. 노조원들에게 가해지는 압박에 김 후보자가 이끄는 철도노조는 결국 4일 만에 파업을 종료할 수밖에 없었다. 이후 김 후보자와 노조에게는 거액의 배상이 청구됐다. .

김 후보자는 철도노조 위원장으로서 불법 파업을 주도했다는 이유로 코레일로부터 102억원 상당의 손해배상 청구를 당했다. 대법원이 내린 69억9000만원의 배상 판결에 수십억원의 이자가 더해지면서 액수가 늘었다.

김 후보자는 주 4.5일제, 노란봉투법 등 본인이 노동자로서 겪었던 경험에 기반해 노동법 개정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노란봉투법으로 불리는 노동조합법 2·3조 개정안의 경우 노조법상 사용자 범위를 하청 노동자와 직접 계약 관계가 없는 원청 업체로 확대하고(2조) 파업 노동자에 대한 사용자의 손해배상 청구권을 제한(3조)하는 게 핵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