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제가 고본 북학의'(국가유산청 제공)


(서울=뉴스1) 정수영 기자 = 조선 후기 국가 발전을 위한 개혁·개방의 방안이 담긴 '박제가 고본 북학의'가 보물로 지정된다.


국가유산청은 18세기 실학자 박제가(1750~1805)의 개혁 사상을 담은 '박제가 고본 북학의'를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고 1일 밝혔다.

'북학의'는 박제가가 1778년 청의 북경을 다녀온 후, 국가 제도와 정책 등 사회와 경제의 전 분야에 대한 실천법을 제시한 지침서다. 이 책은 내외 편으로 구분돼 있는데, 내편은 각종 기물과 장비에 대한 개혁법을, 외편은 제도와 정책에 대한 개혁안을 소개하고 있다.

국가유산청은 "'박제가 고본 북학의'는 작성 시기가 초기본에 가장 가깝고, 박제가의 친필 고본(稿本)이라는 점이 분명해 가치가 탁월하다"며 "이 책은 이후 다른 사람이 옮겨 베껴 쓰는 다양한 형태의 필사본의 저본이 됐고, 편차 및 내용의 기본 틀과 방향을 결정하는 기준이 됐다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가 높다"고 설명했다.


'박제가 고본 북학의'(국가유산청 제공)


국가유산청은 또 "이 책에는 박지원(1737~1805)의 친필 서문이 함께 남아 있는데, 두 역사적 인물이 직접 쓴 글씨가 함께 남아 있는 매우 희소한 사례라는 점, 조선 후기 대표적인 실학서로 당대 조선 사회에 끼친 영향력이 매우 크다는 점 등에서 우수한 가치를 지녔다"고 밝혔다.

국가유산청은 이날 '구례 화엄사 벽암대사비', '대혜보각선사서', '예기집설 권1~2', '벽역신방', '합천 해인사 금동관음·지장보살이존좌상 및 복장유물', '창원 성주사 석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강화 전등사 명경대', '삼척 흥전리사지 출토 청동정병' 등 8건도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국가유산청은 이번에 지정 예고한 '박제가 고본 북학의'을 비롯해 '삼척 흥전리사지 출토 청동정병' 등 9건에 대해 30일간 예고를 통해 각계 의견을 수렴·검토한 후, 문화유산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각각 지정할 예정이다.

구례 화엄사 벽암대사비(국가유산청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