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총재는 1일(현지시간) 포르투갈 신트라에서 열린 ECB(유럽중앙은행) 주최 연례 통화정책 포럼에서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총재, 앤드루 베일리 영란은행 총재, 카즈오 우에다 일본은행 총재와 함께 정책 토론에 나서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최근 미국에서 지니어스법이 통과되며 많은 핀테크 회사들이 정부에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요청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비은행 금융기관의 스테이블코인 발행은 한은의 권한을 넘어서 정부 기관과 논의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이어 "규제되지 않은 스테이블코인을 허용하면 달러 스테이블코인으로 교환이 가속화되고 자본유출과 통화정책 유효성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며 "일각에서는 블록체인 기술이 불규칙한 거래를 식별할 수 있다고 하지만 실제로 가능한지 확신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다른 중앙은행장들도 이 총재의 의견에 공감했다. 파월 연준 의장은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정부의 규제 프레임워크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했다. 베일리 영란은행 총재도 "스테이블코인이 화폐로서 신뢰와 명목가치 보존을 충족하는지 검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라가르드 ECB 총재는 스테이블코인에 대해 "화폐가 사유화될 가능성이 높고 공공의 이익에도 좋지 않다"면서 "스테이블코인은 통화정책 수행 능력을 약화시키고 의도치 않게 통화 주권을 약화시킬 위험이 있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관세 영향에 대한 입장도 밝혔다. 이 총재는 트럼프 관세 여파에 우리나라 경제를 보호하기 위한 중앙은행의 역할을 묻는 질문에 "현재 인플레이션은 약 2%로 안정됐고 미국 관세는 인플레이션보다는 디플레이션 경향이 있다고 본다"고 언급했다.
이어 "한국이 보복 관세로 대응할 가능성이 낮고, 성장률이 잠재성장률보다 낮아 총수요 압력이 낮다"고 했다. 이어 "중국발 수입물가 하락 등으로 디플레이션 경향도 크다"고 설명했다.
한국이 금리인하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는 점도 언급했다. 이 총재는 "지난해 10월부터 금리를 100bp 인하했고, 성장률을 고려할 때 계속 완화 사이클에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다만 최근에는 금융 안정 위험이 증가하고 있고 특히 수도권 주택 가격이 매우 빠르게 상승해 추가 인하 속도와 시기를 정할 때 금융 안정을 주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