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중공업이 건조한 수에즈막스급 원유운반선. /사진=삼성중공업
한국 조선업계의 고부가 가치 선박 중심의 수주 흐름이 입증됐다. 글로벌 수주 물량이 줄면서 호황이 꺾일 수 있단 우려도 나온다.

4일 영국 조선해운시황 전문기관인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지난달 전 세계 선박 수주량은 256만CGT(84척)로 나타났다. 전년동기(1326만CGT)보다는 81% 감소했다.


국가별 수주량 기준으로는 한국이 105만CGT(18척)으로 점유율 41%, 중국이 137만CGT(50척)으로 53%를 차지했다. 척당 환산톤수는 한국(5.8만CGT)로 중국(2.7만CGT)의 2.1배다.

올해 상반기 글로벌 누적 수주는 1938만CGT(647척)다. 전년 동기 4258만CGT(1788척) 대비 54% 감소했다. 한국 487만CGT(113척, 25%), 중국은 1,004만CGT(370척, 52%)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보다 각각 33%, 65% 떨어졌다.

6월말 전세계 수주잔량은 전월 대비 158만CGT 감소한 1억6374만CGT다. 한국은 3542만CGT(22%), 중국이 9682만CGT(59%)를 차지했다. 전월 대비 각각 한국은 89만CGT, 중국은 99만CGT 감소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서는 한국은 318만CGT 감소, 중국은 2044만CGT가 증가했다.


6월말 클락슨 신조선가지수는 5월(186.69)보다 0.42포인트 상승한 187.11로 4월(187.11) 수준으로 회복했다. 선종별 선가는 LNG운반선 2억5500만달러, 초대형 유조선(VLCC) 1억2600만불, 초대형 컨테이너선(22~24k TEU)은 2억7300만달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