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상 사장은 4일 오후 4시30분께 서울 을지로 본사에서 열린 긴급 기자간담회에서 사이버 침해사고에 따른 위약금 면제 결정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유 사장은 "이사회에서 종합적으로 정부 발표 결과와 고객 및 시장에 미치는 영향, 고객 신뢰를 포함한 장기적 관점을 검토해 위약금 면제를 시행키로 했다"고 밝혔다.
앞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민관합동조사단은 SK텔레콤 사이버 침해사고 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SK텔레콤 약관상 위약금 면제가 타당하다는 판단을 내린 바 있다.
이에 따라 SK텔레콤은 긴급 이사회를 소집해 위약금 면제와 함께 총 5000억원 규모의 고객 신뢰 회복 프로그램 가동, 향후 5년간 7000억원 규모의 정보보호 투자 확대 등을 의결했다.
한때 위약금 면제가 현실화되면 수조원 규모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지만 유 사장은 이에 대해 "(침해사고 발견 직후) 고객들의 불안이 가장 높은 시기였고 고객 이탈도 많은 시기였고 (위약금 면제에 대한) 기간에 대한 부분도 알 수 없었다"고 말했다. 이어 "그럼에도 이사회에서는 고객 이탈 가능성이 높은데도 전격적으로 위약금 면제를 시행해 고충을 덜어드리는 쪽으로 결정하게 됐다"고 강조했다.
그는 "영업이익 감소는 고객들 반응을 알 수 없어 정확히 수치를 말씀드릴 수는 없으나 공시를 할 정도로 중대한 매출 감소가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유 사장은 "침해사고 이후 해지를 원하는 고객들은 2개월 내에 많이 떠나셨다고 본다"며 "(해지를 원하는 가입자들의) 불안 요인은 유심보호서비스나 유심교체로 대다수 진행됐고 현 시점에서 위약금 추가 면제 요인은 없다고 보지만 (7월 14일까지) 추가 연장했다"고 밝혔다.
위약금 면제 범위는 모바일 회선에 한정되며 이에 따른 비용 인식 시점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오는 3분기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