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김정한 기자 = 한국 현대 미술의 거장 고(故) 류경채(1920-1995) 화백과 그의 아들이자 실험적인 조각가인 고 류훈(1954-2014) 작가의 2인전 '공(空)-존'이 학고재에서 8월 9일까지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서로 다른 시대를 살았던 두 부자가 '우리의 존재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각자의 방식으로 답하며 만들어낸 작품들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리다.
전시에서는 류경채 작가의 추상 회화 약 15점과 류훈 작가의 조각 작품 약 24점을 선보인다. 두 사람은 부자 관계지만, 그들의 예술 세계는 단순한 가족의 연을 넘어선다. 각자의 시대와 생각 속에서 만들어진 작품들은 놀랍도록 서로 소통하고 영향을 주고받으며, 관람객들에게 깊은 울림을 전한다.
류경채는 한국 현대 미술이 시작될 무렵 활동하며, 자연과 사람, 삶이 어떻게 어울려 살아가는지를 탐구했다. 그는 그림 속에 동양적인 생각으로 자연의 순환과 변화를 담아냈다. 특히 1970년대에는 단순한 색으로 이루어진 그림들을 통해 한국적인 자연의 아름다움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표현하며 자연의 본질을 깊이 탐색했다.
반면 아들 류훈은 좀 더 파격적이고 실험적인 방식으로 존재의 복잡하고 깊은 면을 파고들었다. 그는 전통적인 조각의 주제인 인체를 해체하고 기하학적인 형태로 다시 만들었다. 이는 아버지 류경채가 추구했던 자연과의 조화와는 다른 길이다. 그의 작품 속에서 불완전한 형태들은 불안하고 모순된 현대인의 모습을 드러내며, 존재의 균열과 충돌을 직면하게 한다.
전시 제목인 '공'(空)은 단순히 비어 있다는 뜻을 넘어 모든 새로운 가능성이 시작되는 곳을 의미한다. 그리고 '존'은 그 빈 공간 속에서 살아 숨 쉬는 존재의 흔적이자 현재를 상징한다. 류경채의 평면적인 그림과 류훈의 입체적인 조각들은 '공'의 공간 안에서 서로를 비추고 감싸 안으며, 시간과 기억, 몸과 영혼, 질서와 혼란 사이에서 대화를 이어간다.
두 작가가 서로 다른 시각과 표현 방식으로 '존재란 무엇인가?'라는 같은 질문을 던졌다는 점이 이번 전시의 가장 큰 매력이다. 이번 전시는 단순한 단절이 아니라, 시대와 세대를 거쳐 예술이 어떻게 이어지고 변화하는지를 직접 경험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