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경기도 식중독 예방 안내. /사진제공=경기도
경기도 내 식중독 발생의 절반 이상이 여름철 석 달 동안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11일 경기도 보건건강국이 최근 5년간(2020~2024년) '경기도 여름철 식중독 발생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전체 식중독 발생 건수의 37.1%가 6~8월 여름철에 발생했으며, 환자 수는 전체의 51.3%를 차지해 절반을 넘어섰다.


특히, 7월에는 평균 7.4건, 346.6명의 환자가 발생하는 등 건당 환자수가 많아 타 계절에 비해 식중독 발생 규모가 크다. 최근에는 빵류에서 검출된 살모넬라균과 육회비빔밥 섭취로 인한 병원성대장균 식중독 사례가 계속 발생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경기 도 관계자는 "병원성대장균은 소량으로도 감염이 가능하고 교차오염 가능성도 높아, 다수 인원이 동일 음식을 섭취하는 집단급식소의 철저한 예방조치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이에 경기도는 7월 한 달간 G버스 8000대를 통해 살모넬라 예방수칙 홍보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다중이용시설 내 식품취급업소 집중 점검과 함께, 식품제조업체 중 대량 조리해 산업체 등에 음식을 이동 공급하는 업체, 식품위생법 위반 이력 업체 67개를 위생취약시설로 분류해 점검과 수거검사를 할 예정이다.


유영철 경기도 보건건강국장은 "기온 상승에 따라 세균성 식중독(살모넬라, 병원성 대장균 등) 위험성 커지고 있다"며 "이에 영업자와 집단급식소 관리자는 식중독 예방수칙을 철저히 이행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