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일 뉴스1에 따르면 김 변호사는 지난 9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가 연 검찰개혁 4법 공청회에 국민의힘 측 진술인으로 참석해 박 의원과 질의응답을 하던 중 "의원님이 한쪽 눈이 없으시지 않으냐"며 "저도 마찬가지로 한쪽 눈이 없다. 저도 장애인으로 살고 있는데 제가 변호사가 될 때까지 장애인을 거의 못 만나 봤다"고 말해 논란이 일었다.
박 의원이 "약자 편에 서서 좋은 일을 하는 김 변호사가 마치 정치검찰 개혁에 반대하는 것처럼 말해서는 안 된다"고 말한 것에 대한 답변이었다.
해당 발언의 문제점을 인지한 김 변호사는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사과문을 게재했다. 그는 "공청회장에서 박 의원의 장애를 언급한 것은 전적으로 제 잘못이다. 질문했다가 그런 대답을 듣고 당황했을 의원님께 직접 사과드렸다"라며 "다행히 괜찮다고 하시면서 사과를 받아주셨다"고 전했다.
김 변호사는 "평소 의안을 착용하고 적극적으로 의정활동 하는 박 의원을 보면서 대단하다고 생각했는데 어제 오랜만에 직접 보니 괜히 혼자 반가워서 일방적인 내적 친밀감에 그런 결례를 하고 말았다"며 "너무 후회된다"고 자책했다. 이어 "박 의원의 질문 취지는 제가 이해하기로는 '사회적 약자를 변호한다면서 왜 검찰개혁을 반대하냐'였다"며 "그냥 '지금 이대로는 제도의 디테일이 없어서 그대로 시행될 경우 사회적 약자가 제일 큰 피해를 보게 되어 그렇다' 이렇게 간단하게 말했으면 될 것을 멍청하게 왜 그랬을까"라고 덧붙였다.
끝으로 김 변호사는 "시간 제약으로 끝까지 말을 다 하지 못하고 어색하고 무례한 답변만 남았다. 제 경솔한 언행으로 상처받고 화나신 많은 분께도 진심으로 죄송하다는 말씀드린다"며 "제 진심이나 진짜 하고 싶은 말이 무엇이었든 간에 어제의 제 잘못을 조금도 줄일 수 없다"고 거듭 사과했다.
김 변호사는 2012년부터 변호사 활동을 시작해 다양한 장애인 인권 관련 법률 및 제도 개선에 꾸준히 참여해왔다. 현재는 장애인권법센터 대표 변호사로 활동하고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