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보성군청 소회의실에서 김철우 보성군수와 실과소장이 참석한 가운데 폭염 총력 대응을 위한 긴급 간부회의가 열리고 있다./보성군
117년 만의 폭염에 전남 보성군도 비상 체제에 돌입했다.

보성군은 11일 오전 군청 소회의실에서 모든 실장과 소장이 참석한 가운데 '폭염 총력 대응을 위한 긴급 간부회의'를 열었다.


보성군은 이미 폭염 상황관리 합동 TF(34명)를 구성·운영하며, 취약계층, 보건·건강, 농축수산 등 분야별 대응에 선제적으로 나선 상태다.

김 군수는 이날 회의에서 △폭염 취약계층 전수 모니터링 강화 △무더위쉼터 410개소 점검과 냉방기 보강△살수차 확대 운영 △농축수산업 피해 예방 대책 △폭염 대응 행동 요령 집중 홍보 등 군민 생활과 직결된 조치를 모든 부서가 신속히 실행에 나설 것을 지시했다.

또한 고령자, 장애인, 실외 근로자 등 폭염 취약계층 보호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마을별 안부 확인 강화 등 실효성 있는 대응체계 구축을 주문했다.
김철우 보성군수가 지난 10일 조성면을 방문해 무더위 주민들의 안부를 살피고 있다./보성군
특히 무안군은 무더위쉼터 운영비·냉방비 추가 지원, 예산 확보 및 인력 재조정 등 이상기후 장기화에 대비한 행정적 후속 대책에도 선제적으로 나서, 군민 체감도를 높이고 기후 위기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김철우 보성군수는 "117년 만의 기록적인 무더위 속 군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이 군정의 최우선 과제"라며 "정부 방침에 발맞춰 예산과 인력을 아끼지 않고 군민이 체감할 수 있는 부서별 맞춤형 조치를 신속히 시행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