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예용 환경보건시민센터 소장이 지난 3월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후쿠시마 원전사고 14주기 기자회견에 참석해 일본의 핵폐수 해양투기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일본이 동일본 대지진 이후 처음으로 원자력 발전소를 건설할 계획이다.

19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등에 따르면 일본 간사이전력은 혼슈 후쿠이현 미하마 원전 부지에 차세대 원전 건설을 위한 지질 조사 등에 착수할 것이라고 곧 발표할 예정이다. 다음주엔 임원이 현지 자자체를 상대로 설명도 진행한다.


원전 신설이 구체화하는 것은 2011년 동일본 지진 이후 처음이다. 일본 정부가 탈탄소 목표 달성에 필수적이라고 강조한 원전 활용을 본격화하는 것으로 보인다.

간사이전력은 2010년에도 미하마 원전 신설을 위한 조사를 진행했지만 동일본 지진으로 인한 도쿄전력의 후쿠시마 제1 원전 사고로 중단했었다.

일본 내 원전 신설은 2009년 가동된 홋카이도전력의 다마리 원전 3호기가 마지막이다. 간사이전력은 안전성이 높다고 평가받는 '혁신 경수로' 등 차세대 원전을 계획하고 있다.


지질·지형 등의 조사는 원전 신설의 첫 단계다. 조사 후엔 기본 설계를 수립하고 원자력규제위원회에 신청하며, 승인 후 공사에 착수한다. 공사는 규제위에 제출한 계획대로 진행되는지 단계별로 심사를 받는다. 원전은 원자로 안전성 인증 등을 받은 뒤 가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사부터 가동까진 20년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간사이전력의 미하마 원전은 현재 3호기만 가동 중이다. 1, 2호기는 폐쇄가 결정됐다. 간사이전력의 후쿠이현 다카하마 원전 1호기는 지난해 일본 원전 중 처음으로 가동 기간이 50년을 초과했다. 미하마 3호기도 2026년 50년을 맞는다. 간사이전력은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기존 원전 재건과 신규 증설이 필요하다고 밝혀왔다.

원전 폐쇄에도 수십년이 소요된다. 폐쇄 원전과 같은 위치에 신규 원전을 건설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고 여겨진다. 먼저 기존 원전 부재 내 다른 위치에 지질 등 환경이 신규 건설에 적합한지 조사하는 이유다.

일본 정부는 2월 내각이 승인한 제7차 에너지 기본 계획에서 원전을 포함한 탈탄소 발전원을 최대한 활용한다고 명시했다.

동일본 대지진 이후 명시해 온 "가능한 한 원전 의존도를 낮춘"는 문구를 삭제하고, 폐로를 결정한 원전 부지 내 차세대형 원전으로 재건하는 것을 구체화하겠다고 밝혔다.

후쿠시마 제1 원전 사고로 일본 내 원전은 가동이 모두 중단됐다. 그러다 간사이전력과 규슈전력이 재가동을 진행했고 지난해엔 동일본에서 처음으로 도호쿠전력의 오가와 원전 2호기가 가동됐다.

2040년까지 일본 내 원전 15기가 50년을 초과할 예정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미래 전력 확보를 위한 원전의 장기 활용을 위해선 재건설이 필수적"이라며 "원전 신설은 규슈전력도 검토를 시작하고 있다"고 전했다.

제7차 에너지 기본 계획은 2040년 전력 공급의 원전 발전 비율이 20% 정도 될 것으로 전망했다. 2023년엔 8.5%였다.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화력발전소는 현재 70%에서 30~40% 수준으로 줄일 계획이다. 재생에너지를 포함한 탈탄소 발전 비율은 최대 70%로 높일 방침이다.

간사이전력의 니혼게이자이신문 보도에 대해 "원전 신설을 검토해야 할 시기라고 생각한다"라면서도 "현재 구체적인 계획을 결정한 것은 없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