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2일 JTBC '사건반장'에서는 한 회사에 입사 지원서를 냈다가 황당한 내용의 문자 메시지를 받았다는 제보자 A씨 사연이 전해졌다. A씨에 따르면 그는 초중고등학교 대상 찾아가는 뮤지컬 및 각종 산하 프로그램을 담당할 기획, 연출, 극작 담당자를 채용한다는 내용의 공고를 보고 한 회사에 입사 지원서를 냈다.
얼마 후 채용 담당자로부터 장문의 안내 문자가 왔다. 채용 담당자는 회사가 FM을 상당히 중요시하고 보수적이라며 "다나까 필수, 말 끝에 대표님 호칭 필수, 관등성명, 복명복창 등을 엄수해야 한다"고 알렸다. 대표가 부를 경우 어떻게 대답해야 하는지까지 상세히 설명했다.
또 "정식 자세는 눈 감고 머리 묶고 허리 펴고 발붙인 공수 자세로 대기하는 것을 말하고, 약식 자세는 앉아 있을 경우 정식 자세에서 머리 묶고 눈 감는 것만 제외하고 동일하다"면서 "앉아 있을 경우 관등성명이나 복명복창을 요청할 경우 자세가 흐트러져 있어도 다시 바르게 약식 자세 취한 후 말씀하시면 된다. 동의 및 엄수할 수 있냐"라는 내용이 담겼다.
해당 업체는 2년 전에도 배우 구직 글을 올리며 배우 하대 업체라 불리며 논란이 된 바 있다. 이번 논란과 관련해 업체 측은 "불편을 드렸다면 죄송하다. 당시 내부 사건사고 등으로 인해 부득이 규정하게 된 사안이다. 채용 과정에서 가볍게 지원하는 구직자가 있어서 갈등이 좀 있었다. 지원자 태도를 검증하는 차원에서 엄격하게 만들었다. FM 규정이 있긴 하지만 본사 직원들도 따르지 않는 게 많다"고 해명했다.
박지훈 변호사는 "요즘 군대도 그렇게 하지 않는다. 문화예술 프로그램 만드는 업체인데 무슨 다나까냐. 납득하기 어렵다. 변명 아닌가 하는 생각"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