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마트산업노동조합 홈플러스지부 회원들이 지난 5월12일 서울 종로구 MBK파트너스 본사 앞에서 홈플러스 대주주 MBK파트너스의 홈플러스 사태 해결을 위한 자구노력 및 1조원 투자 약속을 즉각 이행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 사진=뉴시스 조수정 기자
홈플러스 기업회생 사태가 5개월째 제자리걸음을 이어가는 가운데 더불어민주당이 MBK파트너스를 작심비판하고 나섰다.

민주당 을지로위원회(위원장 민병덕)는 지난 1일 국회에서 'MBK의 진심, 홈플러스 회생일까? 먹튀일까?'를 주제로 제2차 연속토론회를 열고, 피해자 보호·사모펀드 규제 입법과 함께 청문회 개최를 촉구했다.


민병덕 위원장은 개회사에서 "홈플러스 사태는 단순한 경영 실패가 아니라, 사모펀드의 단기 수익 추구가 노동자·서민 생계에 직접적인 피해를 준 사회적 문제"라며 "MBK는 인수 후 10년 동안 점포를 작년 11월 기준 141개에서 126개로 줄이고 부채비율을 1408%로 끌어올리며 남긴 것은 부채와 불안뿐"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M&A보다 중요한 것은 홈플러스 관련 노동자, 입점업체, 납품업체와 그 직원들, 전단채 피해자들의 삶을 정상화하는 것"이라며 "이를 명확히 하기 위해 청문회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토론회에서는 피해 당사자들의 증언이 이어졌다. 김병국 홈플러스 입점점주 비상대책협의회 회장은 "기업회생 신청으로 4600여 입점업체가 대금 결제를 제때 받지 못했고 일부 점주는 인건비·납품대금을 마련하기 위해 고금리 대출까지 떠안았다"며 "국회 청문회가 정권 교체 이후 지지부진한 상황에서 무책임한 행동으로 일관하는 MBK에 대한 책임을 반드시 물어야 한다"고 호소했다.


이의환 홈플러스 전단채 피해자 비대위 집행위원장은 "전단채 피해자의 80~90%는 1억~3억원 미만의 노후·생계자금을 투자한 서민들"이라며 "김병주 회장과 MBK는 우량 자산을 팔아 막대한 수익을 챙긴 뒤 남긴 것은 부채와 피해자뿐이다. 기업회생 직전까지도 고위험 전단채를 발행하며 투자자를 속였고, 피해를 서민과 투자자에게 떠넘겼다. 책임 있는 사과와 실질적인 보상 없이는 회생 논의 자체가 공허하다"고 직격했다.

정치권에서도 청문회 필요성이 재차 확인됐다. 김남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반드시 청문회를 열어 MBK와 김병주의 책임을 확인하고, 국민연금이 스튜어드십 코드 역할을 제대로 했는지도 묻겠다"고 말했다.

앞서 여야는 지난 3월 18일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MBK를 대상으로 한 청문회 개최에 합의했지만, 이후 여야 조율이 지연되고 있다. 강민국 국민의힘 간사는 당시 "검은머리 외국인인 김병주 MBK 회장에 대한 국민의 분노가 하늘을 찌른다"며 "국회 출석과 책임 규명을 위해 청문회는 물론 필요하다면 국정조사까지 검토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토론회에서는 홈플러스 매각과 관련한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도 나왔다. 현재 MBK는 약 2조5000억원 규모의 지분을 모두 포기하고 매각을 추진 중이지만 업계에서는 담보 부채를 고려할 경우 실매각가는 1조원대에 불과할 것으로 본다. 9월 말까지 통매각이 불발되면 쪼개기 매각이나 청산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입점업체·노동자·투자자 피해가 더 커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백주선 법무법인 대율 대표변호사는 "9월 말이 마지노선이며, 통매각이 어려울 경우 분할 매각이나 정부 개입을 통한 대안이 불가피하다"고 내다봤다. 마트산업노조 홈플러스 지부의 안수용 지부장도 "9월까지 우선 인수자가 나오지 않으면 쪼개기 매각이나 청산으로 갈 가능성이 높다"며 "이제는 정부가 직접 나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민병덕 위원장은 "을지로위원회와 국회는 더 이상 MBK식 먹튀를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며 "홈플러스 사태 해결은 물론, 제2·제3의 피해를 막기 위해 청문회와 제도적 장치를 반드시 만들어내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