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클라우드는 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독자 인공지능(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사업의 5개 주관 사업자 중 하나로 최종 선정됐다. 사진은 네이버클라우드 CI. /사진=네이버클라우드
네이버클라우드는 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독자 인공지능(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사업의 5개 주관 사업자 중 하나로 최종 선정됐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네이버클라우드를 중심으로 실리콘밸리 기반 영상 멀티모달 AI 스타트업인 ▲트웰브랩스 ▲KAIST ▲서울대 ▲포항공대 ▲고려대 ▲한양대 등 국내 주요 대학과 연구기관이 컨소시엄 형태로 참여한다.


네이버클라우드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AI 기술 개발부터 서비스 구현까지 전 과정을 자체 기술로 수행할 수 있는 'AI 풀스택' 역량을 갖춘 기업으로 평가받는다. '프롬 스크래치'(From Scratch) 방식으로 자체 개발한 초거대 언어모델 '하이퍼클로바X'를 비롯해 대규모 데이터센터와 클라우드 인프라, AI 플랫폼,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서비스까지 직접 구축·운영하며 대규모 실서비스 적용 경험을 축적해왔다.

이번 사업에서 네이버클라우드 컨소시엄은 네이버의 언어·음성 기반 멀티모달 기술과 트웰브랩스의 세계 최고 수준 영상 AI 기술을 결합해 텍스트·이미지·오디오·비디오 등 이종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생성하는 '옴니(Omni)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 모델은 국내 산업과 공공 분야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도 활용될 수 있는 완성형 멀티모달 AI로 구현될 예정이다.

아울러 옴니 모델을 기반으로 전 국민이 쉽게 체감할 수 있는 AI 서비스를 제공하고 AI 에이전트 마켓플레이스 등을 통해 누구나 AI 에이전트를 개발·등록·유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와 함께 산업별 특화 모델과 솔루션의 상용화도 병행 추진된다.


네이버클라우드는 또 사우디아라비아, 태국, 일본 등에서 쌓아온 소버린 AI 구축 경험을 바탕으로 이번 사업을 통해 'K-AI' 글로벌 수출 모델을 정립한다는 방침이다. 동시에 경량 모델과 추론 특화 모델 등을 오픈소스로 공개해 국내 AI 생태계 확산에도 기여할 예정이다.

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 하이퍼클로바 기술총괄은 "AI는 단순히 잘 만드는 것을 넘어 실제 서비스와 산업 현장에서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국내외 어디서든 활용 가능한 국가대표 AI 모델을 구현하고 글로벌 시장에서도 통할 수 있는 K-AI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