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관세 협상 중인 타이완이 한국, 일본 사례를 토대로 4000억달러(약 554조원) 규모 대미 투자를 검토하고 있다는 언론 보도가 나왔다. 사진은 라이칭더 타이완 총통이 2023년 9월6일 타이완 타이베이에서 희망 국가 프로젝트를 발표하는 모습. /사진=로이터
미국과 관세 협상 중인 타이완이 한국, 일본 사례를 토대로 4000억달러(약 554조원) 규모 대미 투자를 검토 중이다.

5일(이하 현지시각) 타이완 매체 중앙통신에 따르면 궈즈후이 타이완 경제부 부장은 지난 4일 타이완 가오슝에서 열린 좌담회에서 한국과 일본이 제시한 대미 투자 규모를 고려할 때 타이완이 약속할 투자 규모는 최대 4000억달러에 이를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해당 발언에 대해 논란이 일자 타이완 경제부는 "정부는 아직 어떠한 구체적인 투자 약속도 하지 않았다"며 확대 해석을 일축했다. 타이완은 지난 1일부터 미국으로부터 20% 관세를 적용받고 있다. 이에 라이칭더 타이완 총통은 "현 세율은 임시적 조치이며 협상이 타결되면 조정될 수 있다"고 밝혔다.

현재 타이완 측 관세 협상단은 정리쥔 부행정원장(부총리 격)을 중심으로 미국과 관세 협상을 이어가고 있다.

한국은 3500억달러(약 484조9950억원) 규모 대미 투자를 제시하며 양국 관세율을 기존 25%에서 15%로 인하하기로 합의했다. 일본도 5500억달러(약 762조1350억원) 투자 계획을 발표하며 한국과 동일한 수준을 관세를 인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