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에 따르면 과거 투자 손실이나 개인정보 유출 피해를 보상해준다며 접근하는 사기 수법이 최근 늘어나고 있어 투자 시 주의가 필요하다/자료=금융감독원
가상자산 투자 열기가 지속되면서 '투자 손실 보상'을 미끼로 한 투자사기가 크게 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1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가상자산 투자사기 제보는 올해 1월 66건에서 6월 105건으로 59.1% 급증했다. 특히 과거 투자 손실이나 개인정보 유출 피해를 보상해준다며 접근하는 수법이 늘고 있다.


금감원은 다음과 같은 사기범들이 5단계 체계적인 수법을 사용한다고 경고했다.

먼저 과거 금융투자 손실이나 개인정보 유출 피해로 인한 손실을 보상해준다며 접근한다. 이후 정부기관 명의의 가짜 문서를 제시하거나 금융회사 직원 등을 사칭하며 투자자와 신뢰감을 형성한다.

신뢰를 구축한 후에는 손실 보상금으로 고수익이 보장되는 가짜 코인을 지급한다고 속인다. 가짜 가상자산거래소에 가입만 해도 '충전금 지급', 출석 체크만 해도 '출석지원금 지급'한다며 무료 코인 지급을 미끼로 유인한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예정보다 과다 지급되었다며 코인 대금 입금을 강요하거나 추가 대출 등을 통해 거액의 투자금을 유도한 후 잠적한다.

실제 피해사례도 심각하다. 30대 A씨는 지난 6월 증권회사 직원을 사칭한 사기범으로부터 총 1억2400만원 자산을 잃었다.

금감원은 피해 방지를 위해 다음과 같은 가상자산 투자사기의 단골 멘트 4가지를 공개했다. ▲투자 손실을 보상해드립니다! ▲○○위원회(정부기관)의 손실 보상(환불) 권고(명령)를 받고 연락드렸습니다 ▲손실 보상금(환불금)은 ○○코인(비상장주식 등)으로 선지급됩니다 ▲○○코인을 무료 지급하기 위해 사이트(거래소) 가입이 필요합니다 등이다.

또한 금감원은 가상자산 투자사기 피해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이달 1일부터 전국 공항과 지하철역에서 피해 예방 동영상을 송출하는 집중 홍보를 실시하고 있다. 올해 하반기 중에는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DAXA)와 공동 홍보도 실시할 예정이다.

금감원은 "불법 가상자산 사기 피해가 의심될 경우 관련 증빙자료를 확보해 신속히 경찰에 신고하거나 금융감독원 가상자산 불공정거래 및 투자사기 신고센터에 제보하시길 바란다"고 권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