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8일(이하 현지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지난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립부 탄 인텔 CEO 중국 군사 관련 기업 투자 이력을 문제 삼아 사임을 촉구했다. 이후 두 사람은 지난 11일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만나 정부 지분 투자 관련 방안을 논의했다.
논의 중인 핵심 옵션은 2022년 '칩스 앤 사이언스 법'에 따라 정부가 인텔에 지원하기로 예정된 자금 중 일부를 지분으로 전환하는 방식이다. 인텔은 해당 법안 최대 수혜자다. 지난해 바이든 행정부는 인텔이 미국 오하이오주와 미 전역에서 신규 공장을 건설하고 기존 시설을 확장하는 조건으로 약 80억달러(약 11조1104억원) 지원 대상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인텔은 일정 성과 달성 후 자금을 받을 계획이었다.
하워드 루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이 자금을 지분으로 전환하는 것이 국민 세금을 보호하면서도 인텔을 지원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밝혔다.
다만 인텔이 추진하기로 했던 오하이오 공장은 이미 수년 동안 지연돼 의회 반발을 사고 있고 탄 CEO에 대한 사임 압박까지 있는 상태다.
지분 10%에 대한 정확한 가치는 아직 협의 중이다. 인텔 시가총액은 약 1000억달러(138조8800억원)로 미 정부가 10% 지분을 확보할 경우 인텔 최대 주주 중 하나가 된다.
이에 WSJ은 "최근 많은 기술 기업들이 트럼프 대통령 환심을 사기 위해 미국 내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며 인텔 지분 거래 역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민간 기업에 직접 개입한 최근 사례가 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