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현철 LG디스플레이 사업부장. /사진=LG디스플레이
최현철 LG디스플레이 사업부장은 'IMID 2025'에서 "AI의 발달로 디스플레이는 인간과 AI가 마주하는 소통의 창이 됐다"며 "이를 위해 4세대 OLED 기술에 적용된 최적의 광학구조와 탠덤 OLED와 같은 적층 구조 개발이 지속 필요하다"고 20일 밝혔다.

최 사업부장은 이날부터 부산 벡스코에서 사흘간 열리는 국내 최대 규모의 디스플레이 학술대회 IMID 개막식에서 '화면을 넘어선 인지 인터페이스로서의 디스플레이'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진행했다.


최 사업부장은 "AI 발달로 디스플레이는 인간과 AI가 마주하는 소통의 창이 됐다"며 AI 혁신을 주도할 디스플레이 기술과 형태, 진화 방향으로 ▲인터페이스의 진화 ▲디스플레이가 표현할 공간의 진화 ▲지속가능한 진화를 위한 조건을 제시했다.

특히 AI를 다루는 인간의 의도와 감정을 정확하게 표현하는 데에 OLED가 가장 최적화됐다고 강조했다. 그는 "AI가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기 시작하면서 센서와 디스플레이 간 융합이 중요해졌다"며 "이를 위해 4세대 OLED 기술에 적용된 최적의 광학구조와 탠덤 OLED와 같은 적층 구조 개발이 지속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디스플레이가 표현할 공간의 진화도 강조했다. 최 사업부장은 '자유로운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슬라이더블 OLED와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예로 들었다. 시각적 깊이가 다차원적으로 진화한 디스플레이 기술로는 3D기술과 증강현실(AR) 및 가상현실(VR) 기술, 투명 및 홀로그램을 제시했다.


지속가능한 진화를 위한 조건도 설명했다. 우선 최 사업부장은 사생활 보호 기술의 필요성을 역설하면서 시야각 제어 기술인 SPM을 소개했다. 해당 기술은 타인의 시선을 감지하고 필요한 사용자에게만 정보를 보여준다.

이어 "AI 기기들은 실시간 반응을 위해 컴퓨팅 프로세스 전력 소비 증가가 필연적"이라며 "그중 디스플레이는 전력효율화의 가장 중요한 축"이라고 말했다. 친환경 기술 역시 강조했다. LG디스플레이는 올해 ESG 경영 상위 1%임을 뜻하는 에코바디스 '플래티넘'을 획득한 바 있다.

최 사업부장은 "AI 시대에 사용자의 의도를 맥락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정확히 구현하고, 기술적 진화의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가장 적합한 디스플레이는 바로 OLED"라며 "OLED는 AI 확산과 함께 디스플레이 산업의 혁신과 확장을 주도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LG디스플레이는 특별 전시장을 마련하고 '18인치 차량용 슬라이더블 OLED'와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비롯해 IMID 학회에서 '올해의 디스플레이 대상'으로 선정된 '83인치 4세대 OLED TV 패널'과 게이밍OLED 등을 전시한다. 행사 기간 OLED 및 차세대 디스플레이 연구논문 23건을 발표해 차별화된 기술 리더십도 강조할 계획이다.